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arksj914님의 프로필 이미지
parksj914

작성한 질문수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 테스트(Container)환경 구축 상세 설명

로컬 개발환경 구축시 k8s 환경에 대한 테스트는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작성

·

14

1

안녕하세요.
로컬 k8s 구축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남깁니다.

개발환경을 구축해야하는 상황이 생겨 강사님의 개발환경 구축 편을 보았는데, 도커를 사용해서 이미지를 띄우는 작업 까지만 하셨더라구요.

저는 로컬 k8s 환경을 구축한 뒤 소스코드 변경시 로컬 k8s 환경에서 확인하는 작업까지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로컬에서 개발시 구축환경은 어디까지인가? 라는 점입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0

일프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일프로
지식공유자

정답은 없습니다. 개발자의 역량껏 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제 강의에서는 로컬을 위한 최소한의 개발 환경인 셈입니다.

당연히 본인이 쿠버네티스를 잘 하면 직접 로컬에 k8s 환경을 구축해 보는 게 제일 좋죠.

개발자가 관심 있어서 직접 해보는 건 대견한 느낌이지만,

관심이 없는 개발자 한테 그 정도까지 하라는 건 오히려 비효율적인 감이 있습니다.

공부해 보셔서 아시겠지만 쉽지 않기 때문에, 억지로 시키기엔 환경 구축에 매달리느라 개발을 못하게 되는 거죠.

아, 그리고 도커로 이미지를 띄우는 작업은 개인 로컬 환경입니다. 개발 환경이랑은 달라요.

개발 환경은 검증, 운영과 똑같은 환경일 뿐 여러 개발자들이 함께 쓰는 인프라 환경입니다.

로컬 환경은 혼자서 자신의 개발에 관련된 최소한의 App만 도커로 띄우는 환경이고요.

parksj914님의 프로필 이미지
parksj914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