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7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47강 수강하면서 궁금한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지금 강의에서는 40대 이상 50대 미만, 50대 이상 60대 미만, 60대 이상 70대 미만의 수를 계산하는 것을 알려주셨는데, 만약 마지막 항목인 60대가 60대 이상의 수를 구하려고 하는거라면 수식이 어떻게 되어야 하나요? 이 경우에는 40대, 50대에서 사용하는 수식과 별도로 새로운 수식을 만들어줘야 하나요?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60대 이상, 즉 70대, 80대도 모두 60대 이상에 포함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 사용한 함수 수식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다른 강의에서는 셀 서식을 변경할 때 셀 서식상자에서 '사용자 지정 G/표준" "' 으로 셀 서식을 설정하셨는데, 이번에는 '사용자 지정 0" "'으로 설정하셨습니다. G/표준과 0의 차이가 무엇이고 어떤 경우에 G/표준과 0을 사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엄소정님.
COUNTIFS 함수를 활용하여 60대 이상의 수를 세기 위해서는 조건을 60 이상으로 잡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령이 포함된 데이터 범위가 A2:A100이라면, 60대 이상을 카운트하기 위해 수식을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COUNTIFS(A2:A100, ">=60")
이 수식은 연령이 60 이상인 모든 항목을 카운트합니다.
G/표준과 0의 차이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 G/표준: 엑셀에서 숫자를 기본적인 숫자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즉, 정수를 그대로 보여주고 소수점 이하도 그대로 표시합니다.
- 0: 지정된 자릿수 만큼 숫자를 표시하며, 숫자의 자리수가 부족한 경우 0으로 채웁니다. 예를 들어 숫자 5를 표시하는 경우 005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G/표준을 사용할 경우, 숫자의 전체 값이 보여지며, 0을 사용할 경우 자리수가 지정된 형식으로 숫자가 표시되게 됩니다.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식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자리수를 일정하게 맞추고 싶다면 0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된 질문으로는 다음 링크를 참고해 보시면 추가적인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립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