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6
·
수정됨
답변 2
0
@cosiw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경력이 유지 보수 위주라 프로젝트를 어떻게 채워야 할지 고민된다는 말씀 충분히 이해합니다.
다만 질문자님의 실제 경험이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이었는지 알 수 없어, 아래 내용은 일반적인 방향성 차원에서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프로젝트라 하면 신규 개발을 떠올리지만, 사실 유지 보수 역시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을 이루어낸 활동이라는 점에서 프로젝트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버그 수정"이라고 쓰는 대신, "서비스 장애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 조치를 적용하여 에러 발생률을 감소시킴"처럼 문제 → 조치 → 결과 구조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지 보수에서 강조할 수 있는 포인트도 여러가지가 있을텐데요.
장애 대응 →긴급 상황 처리, 로그 분석, 재발 방지 프로세스 마련
성능 개선 → 쿼리 최적화, 캐시 적용, 응답 속도 단축
코드 품질 관리 → 리팩토링, 테스트 코드 보강, 기술 부채 해소
운영 효율화 → 반복 작업 자동화, 배포 프로세스 개선
사용자 불편 해소 → 고객 불만 감소, UI·UX 개선 기여
이런 내용은 단순 업무처럼 보일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프로젝트 못지않은 무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영역 구성 방법
실제 프로젝트가 부족하다면 유지 보수 경험을 성격별로 묶어 프로젝트처럼 보여주는 방식이 유용합니다.
대표적으로 묶을 수 있는 예시로는
장애 대응 및 성능 개선 경험
운영 자동화 및 효율화 경험
레거시 코드 품질 개선 경험
이런 식으로 제목을 붙여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프로젝트 단위가 아닌 경험&역량 위주로 묶는 방식이죠!)
경험 브레인스토밍과 구체화 과정을 활용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유지 보수 속에서도 내가 주도적으로 해결한 문제, 팀이나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개선을 가져온 경험을 찾아내면 프로젝트 항목을 채울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핵심은 단순한 '유지 보수'라는 표현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문제 해결과 성과 중심으로 경험을 재구성하는 거에요.
질문자님의 경험을 말씀해 주시면 좀 더 구체적으로 답변이 가능하니, 필요하시다면 추가로 댓글을 달아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osiw님.
경력이 유지 보수 중심이라 프로젝트가 없다는 점에서, 이력서 작성에 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이럴 경우, 프로젝트로의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지원자의 특정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유지 보수 경험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중요한 능력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보세요:
유지 보수의 성과 강조: 유지 보수 과정에서 개선한 시스템의 성능, 사용자 경험 향상 수치 등을 통해 구체적인 성과와 결과를 보여줍니다. 성공적인 유지 보수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어떻게 향상시켰는지 설명하세요.
문제 해결 능력 강조: 유지 보수는 대개 예기치 못한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많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기술과 프로세스, 그 결과를 상세히 작성하세요.
협업 경험 기술: 유지 보수 과정에서 팀과의 소통이나 협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강조합니다. 이로 인해 프로젝트의 성공적 마무리나 효율성을 높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세요.
기술 스택 적용 사례: 경험한 기술들이나 도구들이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 향상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기술합니다. 다양한 기술 스택을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면 좋습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성장: 유지 보수 중에 새롭게 배운 점이나,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스스로 학습한 내용에 대해 추가하세요. 이력서를 통해 성장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면 경력이 유지 보수에 집중되었더라도 충분히 경쟁력 있는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네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하여 이력서 작성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