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6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api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DTO를 사용하고, 혹여나 그렇지 않을 경우 @JsonIgnore을 사용하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만약 스프링부트 1 강의처럼 뷰템플릿으로 개발할 때에는 컨트롤러 리턴 타입이 객체가 아니라 String이기 때문에 DTO가 필요없을까요 ? (굳이 필요하다면 form 객체..?)
마찬가지로 뷰 템플릿에서는 무한 참조 상황에서 @JsonIgnore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 편의 메서드로 무한 참조를 방지하면 해결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onderwall09in님.
질문 주신 부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돕고자, 뷰 템플릿 사용 시 DTO와 무한 참조 방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뷰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DTO(Data Transfer Object)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설계입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입니다:
영속성 분리: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와 매핑된 객체로 변경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엔티티가 변경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성: 엔티티 대신 DTO를 사용할 경우, View에 필요한 데이터만 포함시키고, 불필요한 엔티티 필드를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유지보수와 코드 가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즈니스 로직 캡슐화: 컨트롤러에서 모든 로직을 다루는 대신, DTO를 사용해 비즈니스 로직을 캡슐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응집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Vue 템플릿에서 무한 참조의 문제는 주로 JSON 직렬화 시 나타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JsonIgnore: JSON 변환 과정에서 특정 필드를 무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API 응답 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용도로 적합합니다.
양방향 관계에서의 편의 메서드 사용: 양방향 연관 관계를 사용할 때, 한쪽에서 값을 설정할 때 상대 관계까지 설정해주는 편의 메서드를 사용하면 JPA에서의 무한 참조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JsonIgnore보다는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이런 관계 설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관련된 내용으로는 “스프링에서의 엔티티와 DTO 구분”에 대한 논의가 많이 있었으며, JPA 학습에서는 이 부분이 자주 다루어집니다. “DTO 사용방법” 라는 질문에서도 DTO 사용 및 설계에 대한 유사한 논의가 있음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