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3
1
질문있습니다!
Controller에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 받을 때 @RequestBody, @RequestParam, @PathVariable, Dto를 활용하는데, 어떤 경우로부터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요청받았을 때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게 맞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문예진님.
RESTful API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사용 목적과 요건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questBody: 클라이언트로부터 JSON, XML 등의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객체로 매핑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POST, PUT 요청에서 데이터를 요청 본문(body)에 포함하여 전송할 때 유용합니다.
@RequestParam: 쿼리 파라미터 또는 폼 데이터를 통해 전달되는 간단한 데이터를 수신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GET 요청에서 URL에 쿼리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GET /api/items?name=apple
에서 name
파라미터를 가져올 때 사용됩니다.
@PathVariable: URL 경로에 포함된 변수를 사용할 때 활용됩니다. 주로 리소스 식별자를 지정할 때 사용되며, RESTful URI 설계에 따라 리소스를 식별하는 데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GET /api/items/{id}
에서 {id}
에 해당하는 값을 경로 변수로 받습니다.
DTO(Data Transfer Object):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쉽게 전송하기 위한 객체입니다. 요청이나 응답의 구조가 복잡한 경우 여러 필드를 포함한 DTO 객체를 정의하여 구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각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으며,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검색 조건처럼 간단한 데이터를 전달할 때는 @RequestParam
이 적합하고, 복잡한 객체를 JSON 형식으로 전송할 때는 @RequestBody
가 적절합니다.
위의 기본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각 적용 사례의 예제를 탐색하거나, 인프런 포럼에서 관련 질문을 더 찾아보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0
인프런에서 답변이 잘 달려있네요.
아래 공식 사이트에서 자세한 설명을 알 수 있습니다.
다양한 annotation 들은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mvc/mvc-controller/ann-methods.html 에 모두 나와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