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7
0
강의사이트의 경우 신규 유입자인지
강의 수강자인지 ,재구입 의사자인지구분이 안될거같은데
오가닉서치,direct가 의미 없지 않나요?
답변 2
0
강의 사이트가 웹인 경우, 의미가 있습니다만,
앱인 경우는 앱은 GA4로 측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제3자 트래킹 툴(써드파티 툴)이라고 많이 얘기하는 앱스플라이어 같은 툴 별도로 쓰셔야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재우님.
질문해주신 내용은 구글 애널리틱스(GA4)에서 유입 경로와 사용자 분류에 관한 것 같습니다. 오가닉 서치와 다이렉트 트래픽의 경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어떻게 도달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어떤 채널이 가장 많은 트래픽을 유도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그러나 말씀하신 것처럼, 유입 채널(오가닉, 다이렉트 등)만으로는 사용자가 신규 유입자인지, 기존 수강자인지, 혹은 재구입 의사를 가진 잠재 고객인지를 바로 알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세분화는 보통 고급 설정을 통해 가능합니다.
사용자 정의 이벤트 및 속성 세팅: GA4와 같은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설정하면, 방문자들이 사이트 내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 보다 상세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구매 의사를 가진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고객 세그먼트: 분석 도구에서 고객 세그먼트를 정의하면, 신규 고객과 기존 고객을 구분할 수 있으며,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도움이 될 만한 링크를 추천드립니다:
세션 및 유입 경로 분석 방법 - 이 글에서는 GA4에서 세션 데이터와 유입 경로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GA4 데이터 해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수립 - GA4를 활용해 보다 깊이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