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9
0
아무래도 한글보다는 영어로 제시하는게 더 좋은 퀄리티의 영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
이미지를 원본으로 바로 영상화하는 방법 외에, 조금 더 구체적이거나 창의적인 영상을 만들고 싶을 때, 이미지를 텍스트로 먼저 상세하게 묘사(Text-to-Text)한 뒤, 그 텍스트를 바탕으로 영상을 만드는(Text-to-Video) 방식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마소캠퍼스입니다.
먼저 주신 질문과 같이 한글보다는 영어로 제시하는 것이 더 좋은 퀄리티의 영상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chatgpt 등에 "만들고 싶은 영상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를 kling ai에 맞는 영어 프롬프트로 재작성해 달라 하여 영어로 kling에 생성 명령을 내리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두번째 주신 질문도 마찬가지로, 생성형 AI 모델의 특성 상 구체적인 묘사와 단계의 세분화는
좋은 결과물 생성에 거의 모든 경우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 이미지의 경우 Kling 생성 이미지보다 더 나은 소스를 얻을 수 있다면 상세 묘사 단계는 대체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소캠퍼스 드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ghuhan18님.
Kling AI로 영상 제작 시 언어 설정과 텍스트 활용 방법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이러한 AI 기반의 영상 생성 도구는 주로 영어로 훈련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어로 프롬프트를 제공하면 더 나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AI가 다룰 수 있는 어휘 범위와 의미 해석이 영어에 더욱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지를 텍스트로 상세히 묘사한 뒤에 이를 바탕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접근법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더 창의적이고 정밀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정확한 디테일 제공: 텍스트로 이미지의 세부 사항과 원하는 스토리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AI가 이해하고 영상으로 구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명확한 방향 설정: 텍스트를 통해 영상의 흐름과 각각의 장면에서 강조해야 하는 요소를 명확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감성 및 분위기 조절 용이: 단순히 이미지 변환보다 텍스트 설명을 통해 감성적인 요소 및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어 더욱 맞춤형 영상 제작이 가능합니다.
더 구체적인 기술 적용에 대해서는 강의 내 관련된 섹션이나 유사한 사례를 확인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 내용이나 기술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은 기존 답변 링크를 참조하여 깊이 있는 이해를 높이시길 권장드립니다:
- AI 기반의 영상 제작 방법론 - AI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