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blackhole124님의 프로필 이미지
blackhole124

작성한 질문수

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실습] 병목 지점(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해결하기

배포된 서버의 부하테스트 질문 있습니다.

작성

·

25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강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Cloud front - s3 - ec2 이렇게 한개의 서버를 배포를 해둔 상황입니다.

 

질문1

실제 이 서버를 대상으로 부하테스트를 진행하고 싶은데, 강의에서 진행한 k6를 배포 중인 서버를 대상으로 해도 괜찮을까요?

질문2
추가적으로 궁금한게 배포 중인 서버를 대상으로 부하테스트가 가능하다고 해도 s3가 올라가있다면 부하테스트를 하는 것만으로도 비용이 발생하지 않나요??

 

현업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부하 테스트를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

 

 질문3

강의에서 다루지 않았던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비효율적인 로직 개선하기"와 관련된 상황이나 키워드좀 알 수 있을까요?

 

추가적으로 공부해보고 싶은데, 구체적으로 현업에서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 어떤건지 잘 예상이 안됩니다 !

 

질문4

강의에서는 부하 테스트를 위한 K6서버를 하나 배포해서 사용하라고 하셨는데, 이걸 맥북에서 그냥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왜냐하면, 맥북으로 테스트를 했을 때 유저 3천명 정도로 설정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스크린샷 2025-08-10 오후 7.03.12.png.webp

 

 

 

감사합니다 !

 

 

 

답변 1

0

JSCODE 박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JSCODE 박재성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blackhole124님! 강의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려볼게요 !

 

"k6를 배포 중인 서버를 대상으로 해도 괜찮을까요?"

-> 네! 배포된 서버를 대상으로 k6 부하테스트 하셔도 괜찮아요 !

다만, 실제 운영 중인 서비스라면 사용자가 적은 새벽 시간대에 진행하시는걸 권장드려요 !

추가로 테스트 전용 환경을 별도로 구축해서 진행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s3가 올라가있다면 부하테스트를 하는 것만으로도 비용이 발생하지 않나요??"

-> 맞습니다! S3에서 요청 수에 따른 비용 (PUT, GET 등) 및

데이터 전송량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

그래서 현업에서는 아래 방식으로 진행을 하곤해요 :)

[1] 테스트 전용 환경 구축 (스테이징 환경)

[2] 비용 모니터링 설정 후 진행

[3] 짧은 시간으로 테스트 제한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비효율적인 로직 개선하기"와 관련된 상황이나 키워드좀 알 수 있을까요?"

-> 대표적으로 현업에서 자주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로직들에 대한 키워드는 아래와 같아요 !

[1] N+1 쿼리 문제 (JPA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

[2] 불필요한 DB 호출 (캐싱으로 해결 가능)

[3] 비효율적인 반복문 (Stream API 최적화)

[4] 메모리 누수 (객체 생성 최적화)

이런 키워드들로 추가 공부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부하 테스트를 위한 K6서버를 하나 배포해서 사용하라고 하셨는데,

이걸 맥북에서 그냥 진행해도 괜찮을까요?"

-> 권장드리진 않아요 !

개인 컴퓨터(특히 macOS)는 소켓/리소스 제한으로 부하가 커지면 오류가 잘 나고,

부하 자체가 약해 측정이 왜곡될 수 있어요~

개인 컴퓨터 보다는 Linux/EC2에 k6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시는걸 권장드려요 !

하지만 정확한 부하 측정보다는 학습 용도로 사용하시는 거라면

맥북에서 그냥 진행하셔도 괜찮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남겨주세요~~

blackhole124님의 프로필 이미지
blackhole124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