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21
0
안녕하세요 조인실습03 - 8:25에서 join 관련 질문입니다.
[ 이해한 내용 ]
- shippers의 shipper_id
- orders의 ship_via
컬럼명만 다를 뿐, shipper_id가 pk컬럼인데,
orders에서 fk로 만들 때 ship_via로 만든 것이다.
그래서 두 컬럼이 조인된다.
[ 궁금한 사항 ]
두 컬럼이 PK - FK 관계라는 판단 근거가 어떻게 되나요?
Dbeaver에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나요?
제가 수강한 진도까지는 이러한 내용이 나오지 않고
ERD를 봐도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2
0
안녕하십니까,
Shippers 테이블에서 shipper_id(배송자 id)는 고유한 값으로 PK(Primary Key) 컬럼입니다.
이전 강의인 데이터 연결 파악하기 영상의 12분 정도에서 다시 한번 확인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산호초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두 컬럼이 PK(Primary Key)와 FK(Foreign Key) 관계에 있다는 판단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할 때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관계는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되며, 한 테이블의 기본 키(PK)가 다른 테이블에서 외래 키(FK)로 사용되어 테이블 간의 관계를 형성합니다.
확인 방법:
ERD 확인: 보통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에서 두 테이블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FK는 일반적으로 다른 테이블의 PK를 참조하는 화살표로 표시됩니다. ERD에서 ship_via와 shipper_id 간의 관계를 찾아보세요.
DB 관리 도구: DBeaver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에서는 테이블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SQL 명령어 사용: SQL에서 DESCRIBE
명령어나 SHOW CREATE TABLE
명령어를 통해 테이블의 키 설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PK-FK 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해진 규칙에 따라 테이블이 설계되어 있다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강의 내에 존재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추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