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9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민규님.
@Qualifier
는 특정한 빈을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대로 빈의 수가 매우 많아지고 예외 사항이 증가하면 @Qualifier
를 관리하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몇 가지 다른 접근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구성 객체 사용: 빈이 너무 많아질 경우, 공통적인 역할을 가진 빈들을 하나의 구성 객체로 묶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구성 객체 내부에서 필요한 빈을 선택하도록 하여 관리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빈의 분류 체계 사용: 빈에 특정한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Qualifier
를 설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능별로 구분하여 명명 규칙을 엄격히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스테레오타이핑 사용: @Component
나 @Service
와 같이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스테레오타입 애노테이션을 활용하여 빈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필요한 경우 커스텀 스테레오타입을 만드는 방법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실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합하여 사용자 정의 빈 관리 방식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빈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경우는 특정한 시스템이나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는 시스템 설계의 전반적인 구조를 다시 고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된 질문이나 추가적인 예시를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Primary, @Qualifier 우선순위
- @Qualifier를 찾는 용도라는 말이 조금 헷갈립니다ㅠㅜ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