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1
답변 1
0
안녕하세요 강토토님,
좋은 질문을 해주셨습니다.
Redis는 내부적으로 각 키에 대한 메타데이터(예: 데이터 타입, 만료 시간, 메모리 위치 등)를 자동으로 관리합니다. 이 메타데이터는 Redis 내부의 in-memory 데이터 구조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별도로 Map이나 딕셔너리 형태로 외부에서 관리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Redis는 해시 테이블 기반의 dict 구조를 통해 키-값을 저장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O(1) 시간 복잡도로 키 탐색이 가능합니다. 이 dict 자체가 Redis 내부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Redis가 이를 바탕으로 빠르게 키를 찾을 수 있게 해줍니다.
즉, 질문하신 “메타데이터를 programmatically하게 Map이나 딕셔너리에 저장하는 의미냐”는 질문은 아니오에 가깝고, Redis가 이미 내부적으로 이런 메타데이터 구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따로 관리할 필요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