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4
·
수정됨
0
강의 00:30 경에
List<Child> childList
가 나오는데요, 이거는 엔티티라고 하시고 이후에 값 타입 컬렉션을 코드를 보면 Set<String> favoriteFoods
, List<Address> addressHistory
는 값 타입 컬렉션이라고 하시죠.
그런데 아무리봐도 엔티티와 값타입의 차이점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값 타입 컬렉션의 테이블 구조가 위와 같은데
일반 1:N 엔티티 구조에서도 위와 비슷할 것같구요..
강의 2분 55분 정도부터 언급하시는데 별도의 id
를 넣으면 엔티티라고 하시는데, 그렇다면 엔티티와 값타입의 차이점은 단지 별도의 id 유무인가요?
클래스 관점에서나 테이블 관점에서 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엔티티는 별도의 pk(id)가 존재하고, 값 타입은 엔티티처럼 별도의 하나의 pk는 존재하지는 않고
그저 여러 필드?컬럼?값들을 묶어서 pk로 구성하는 건가요?
이것이 맞다면 id차이 하나로 엔티티 따로 값 타입 컬렉션 따로 개념이 나뉘고 값 타입 컬렉션에는 별도의 어노태이션을 사용하고 삽입, 삭제, 변경의 방법도 다를 정도인건가요?
id차이로 이렇게까지 나눌 이유가 있는건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oon6669님!
JPA에서 엔티티와 값 타입의 차이점에 대한 질문을 주셨네요. 이 개념은 JPA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합니다. 아래에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엔티티(Entity):
값 타입(Value Type):
따라서, 값 타입 컬렉션은 한 엔티티 내에서 관리되며, 해당 엔티티의 생명주기에 따릅니다. 값 타입 컬렉션은 주로 여러 값을 하나로 묶어 처리할 때 사용되며, 별도의 식별자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는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지만, 변경 또는 독립적인 사용이 어려운 제약을 가집니다.
질문하신 내용처럼, JPA에서 값 타입 컬렉션과 엔티티는 중요한 개념적 차이와 생명주기에 따라 다르게 다루어집니다.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읽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