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7
0
강의와 같이 로드밸런스용 서브넷을 private 으로 생성할 경우 로드밸런스 생성중 네트워크를 public으로 선택하면 서브넷 선택 과정 중에 생성된 로드밸런스용 서브넷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대신 로드밸런스용 서브넷 생성시 public으로 생성하면 로드밸런스 생성중 네트워크를 public으로 선택했을 때 서브넷이 정상적으로 나타나고 생성된 로드밸런스의 public ip 및 도메인? 으로 타겟그룹으로 정해져있는 웹서버 2대가 round robin 방식으로 정상적으로 보입니다.
강의당시와 현재의 설정 방식이 다른걸까요?
답변 2
0
서브넷 생성시 internet gateway Y로 했을 때만 로드밸런서 창에서 서브넷이 보입니다.
--> I/G Yes 인 경우 퍼블릭 서브넷만 보이고, N 인경우 프라이빗 서브넷만 보입니다.
작업시 퍼블릿 서브넷만 만든경우 I/G Yes로 선택 해야만 보였을 겁니다.
메뉴나 설정 순서가 변경되었는지 다시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ohanjo8458님께서 네이버 클라우드 환경에서 로드 밸런서 및 서브넷 생성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해 질문해 주셨네요.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정보를 제공드리겠습니다.
로드 밸런서 생성 시 서브넷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는 주로 네트워크 구성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서브넷의 “public” 여부는 외부 인터넷과의 연결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로드 밸런서를 public으로 설정했을 때 퍼블릭 서브넷만 리스트에 나타나는 것은 의도된 동작입니다. 로드 밸런서가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려면 퍼블릭 IP가 필요하며, 퍼블릭 서브넷에 위치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인터페이스나 설정 옵션이 강의 당시와 현재 상황에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경은 주로 보안 정책 강화나 기능 개선 목적이지만, 기존 학습 자료와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신 플랫폼 설정 가이드에 맞춰 설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퍼블릭 서브넷을 이용해 로드 밸런서를 설정하면 문제 없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테스트 중이던 환경에서 퍼블릭 서브넷을 사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적절합니다. 더 나아가 이전에 비슷한 이슈를 겪었던 사용자들의 게시물을 확인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질문과 해결 과정을 참고해 보세요: VPC 관련 설정 확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