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5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에러메시지와 AutoAppConfig, AppConfig를 보여드릴게요
***************************
APPLICATION FAILED TO START
***************************
Description:
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utoAppConfig.class]
-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
This may be due to missing parameter name information
Action:
Consider marking one of the beans as @Primary, updating the consumer to accept multiple beans, or using @Qualifier to identify the bean that should be consumed
Ensure that your compiler is configured to use the '-parameters' flag.
You may need to update both your build tool settings as well as your IDE.
(See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framework/wiki/Upgrading-to-Spring-Framework-6.x#parameter-name-retention)
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
@Configuration//설정정보니까
@ComponentScan//스프링빈을 쫙 긁어 가지고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끌어올려야 된다.
(
basePackages = "hello.core.member",//이 위치에서부터 찾아서 들어가는 것 이렇게 해갖고 멤버부터 컴포넌트 스캔 대상이 된다
basePackageClasses = AutoAppConfig.class,//지정한 클래스의 패키지를 탐색 시작 위치로 지정한다. 지정 안하면 디폴트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하면 @Configuration 이 붙은 설정 정보도 자동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AppConfig, TestConfig 등 앞서 만들어두었던 설정 정보도 함께 등록되고, 실행되어 버린다. 그래서 excludeFilters를 이용해서 설정정보는 컴포넌트 스캔 대상에서 제외했다.
public class AutoAppConfig {//테스트 결과 memberService2, memoryMemberRepository 이두가지만 입력 됨
@Bean(name= "memoryMemberRepository")
//@Primary //한 빈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그 빈에 @Primary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세요.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설정 정보 클래스의 위치를 프로젝트 최상단에 두는 것, 프로젝트 시작루트에 두는게 좋음, componentScane->스프링 빈 자동 등록 SpringBootApplication ctrl+클릭해보면 알수 있다.
//컴포넌트 스캔 기본 대상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터리, 컨피규레이션 다 스프링 빈 등록 어노테이션 상속이나, 연동되는 기능없다.
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Primary;
@Configuration //안붙여도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로 다 등록됩니다 애를 빼고 테스트시 순수한 앱구성이 출력됨 근데 이렇게 되면 다른 싱글톤이 깨짐 출력이 5개 전체 출력됨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memb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ord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이렇게 하면 싱글톤이 깨지지 않을까요??
//이 골뱅이 빈이면 컨텐츠 앱이 들어와요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ord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실제 테스트 돌려보니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 이게 세번호출되어야 하는데 한번만 호출 된 신기한 상황 스프링이 정말 어떠한 방법을 써서라도 싱글톤을 보장해 주는구나 라는 걸 아실 수 있음
//call AppConfig.orderService
//appconfig에 비밀이 있다.
//이 골뱅이 빈이 붙은 메서드마다 이미 스프링빈이 존재하면 존재하는 빈을
//반환하고 스프링빈이 없으면 새로 생성해서 스프링빈으로 등록해서 반환하는 코드가 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거예요 이덕분에 싱글톤이 보장되는거에요 없으면 스프링빈등록, 있으면 기존에 꺼내서 반환 그렇기 때문에 세번 호출되는게 아니라 한번만 호출 이미 등록이 되있어서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이렇게하면 Configuration 없애도 해결이됨 의존관계 주입 그러면 스프링에서 다시 끌어온 거를 집어넣어 주는 거거든요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멤버서비스가 빈의 이름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soutm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ctrl+alt+m 리턴해서 new해서 반환하는 요 객체를 빈 객체로 등록해준다. 요거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 빈 이름은 항상 다른 이름을 부여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discountPolicy());//이렇게 주입된걸 넣어주면 테스트 통과됨, 주소값도 같음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할인 정책에대한 객체를 바꾼다.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답변 3
0
안녕하세요. sh hyeogi365님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AppConfig에 @Configuration만 붙여두면 모두 정상 수행이 되는데요.
혹시 모르니 다음 내용을 참고해서 적용해보시겠어요?
감사합니다.
0
멤버서비스 임플 생성자 이렇게 수정해줘도 에러가 뜨네요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Qualifier("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h hyeogi365님께서 스프링 빈 충돌 문제와 관련하여 질문을 주셨습니다. 현재 겪고 계신 문제는 빈 중복 등록으로 인한 충돌입니다. 두 가지 빈(memoryMemberRepository
와 memberRepository
)가 등록되어 있어 스프링이 어떤 빈을 사용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AutoAppConfig
와 AppConfig
두 클래스 모두에서 memberRepository
를 빈으로 등록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memoryMemberRepository
라는 이름으로 등록되고, 하나는 memberRepository
라는 이름으로 등록되는 중입니다.
@ComponentScan
을 통해 MemoryMemberRepository
가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고 있습니다. 만약 AutoAppConfig
또는 AppConfig
중 하나가 이 빈을 등록하지 않도록 수정되지 않았다면, 두 클래스 모두에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imary 사용: @Primary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싶은 빈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memberRepository
메서드에 @Primary
를 추가하세요.
@Qualifier 사용: MemberServiceImpl
클래스에 생성자 주입 시 @Qualifier
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원하는 빈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Qualifier("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자동 스캔에서 제외: MemoryMemberRepository
에 @Component
를 제거하거나, @ComponentScan
의 excludeFilters
를 활용하여 특정 클래스를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빈 이름 중복 해결: 두 빈의 이름이 다르더라도, 타입이 같은 경우 스프링은 어떤 빈을 사용해야 할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코드에서 @Bean(name="...")
부분을 확인하여 올바른 빈을 선택하세요.
아래는 관련 질문과 해결책을 제공하는 링크입니다:
스프링 빈 중복 등록 해결 방법: 빈 충돌 문제와 관련된 예시와 해결 방법을 설명합니다.
빈 등록 시 주의할 점: 스프링 빈 등록의 우선순위 및 주의사항에 관한 참고 자료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_RwlStOVdwIH9_DT4xpx9MqMqO8wKuX9/view?usp=sharing
에러메시지는 안뜨나 로그메시지 드르륵 뜨면서 그냥 넘어가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