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7
0
안녕하세요 섹션1 7강에서
두께 없는 오픈 서피스 위에 원뿔 모양의 닫힌 폴리
서피스 두 개체가 합집합이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두께가 없는 평면하고도 불리언 유니온이
되는건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soo입니다.
이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적으로, 꿀팁 라이노파트1에서는 서피스와 서피스는 결합 / 닫힌서피스와 닫힌서피스는 유니온 개념으로 배우셨을겁니다. 하지만, 실제론 열린서피스와 닫힌서피스 또한 합집합, 차집합과 같은 개념이 가능한 방법이 있습니다.(열린서피스와 닫힌서피스는 결합은 되지 않습니다.)
그 부분은 아래 이미지에서 43번 열린서피스와 앞면 뒷면 구분하는 방법을 보시면 바로 이해가 되실겁니다. 분명히 가능하지만 파트1에서 제시하지 않은 이유는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면 실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수방지차 파트2에서 가르쳐드린 부분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조이밥먹자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Rhino에서 불리언 연산은 주로 닫힌 객체, 즉 솔리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체계적인 모델링 기법에 따라 오픈 서피스와의 조합이 가능합니다. 특히, 이것은 Rhino가 개체들의 경계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와 연관이 있습니다.
오픈 서피스와 연산: 오픈 서피스 자체는 두께가 없으므로 전통적인 불리언 연산의 한계가 있지만, Rhino는 특정 상황에서는 이러한 두께 없는 평면과 닫힌 객체가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는 불리언 유니온의 특별한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객체가 오픈 서피스의 평면에 정확히 위치할 경우 Rhino가 이들을 하나의 합집합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모델링 환경 설정: 불리언 연산은 작업환경과 설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니, 모델링이 진행된 상태와 정확한 경계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모델의 정확한 위치와 정렬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팁: 작업할 때, 목적에 따라 관련 개체들이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주세요. 또한, 도구들의 작동 원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목표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유사 질문 링크는 Rhino의 불리언 연산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게시물입니다. 링크를 통해 해결 방법과 더 많은 예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기존의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합니다. 이 기능은 베타 상태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