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2
·
수정됨
1
강의 내용에서 사용자 요청, 응답에 관한 부분은 trace로그로 보관한다고 들었습니다. 또한 로그 레벨을 나누는 이유가 보기 편하라는 이유를 들었는데요
보통 개발환경에서 로그레벨을 파일별로 나누나요?
app-trace.log
app-info.log
app-error.log
이런식으로 나누고 trace로그를 7일만 보관할 경우 app-trace.log가 7일이 지나면 삭제한다는 방식으로 파일을 나눠서 보관하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다른 질문에 app.log, security.log 이런식으로 파일을 분할하지만 강사님 기준 법적 기준 로그 제외 파일을 하나로 묶는게 좋다고 추천하셨는데요
그럼 trace로그도 하나로 묶어서 보관하는지, 묶는경우 삭제가 안되니까 나눠서 보관하는지요?
답변 2
0
안세영님 안녕하세요~
우선 개발 환경에서 로그 레벨별로 파일을 나눠서 보관하는 경우는 흔하게 있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app-trace.log' 형태보다는 'app-trace-20250710.log' 같은 형태로 일단위로 로그를 저장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파일 이름에 날짜가 들어있어야 파일 이름만으로 일정 기간이 지난 로그를 삭제하기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질문 주신 '그럼 trace로그도 하나로 묶어서 보관하는지, 묶는경우 삭제가 안되니까 나눠서 보관하는지요?' 라고 이야기해주신 내용에 대해선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의 경우 동일한 파일(정확히는 ElasticSearch의 인덱스)에 일자별로 구분하여 함께 보관하긴 합니다. (trace 로그도 너무 많이 로그가 남지 않도록 정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trace 로그가 너무 많이 발생한다면 다른 파일로 분리하는게 좋고,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로그는 더 길게 보관
용량이 큰 trace 로그는 짧은 기간만 보관
하는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도 아주 일반적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이 됐을까요?
또 질문 있으면 질문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안세영님.
개발 환경에서 로그를 레벨별로 파일로 나누어서 저장하는 방법은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로그 관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각 로그 레벨의 중요도에 따라 필요한 로그만 쉽게 탐색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해당 방법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Trace, Info, Error 로그의 분리
파일 분리의 장점
로그 보관 정책
자동 삭제 설정
추가로 도움이 될만한 유사한 질문을 아래에 참고해 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