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40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ThreadLocal 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 가정 -------
Component A가 ThreadLocal을 사용합니다. ( myThreadLocal = ThreadLocal<Long>)
Component B가 ThreadLocal을 사용합니다. ( otherThreadLocal = ThreadLocal<Long>)
질문
1. JVM 내부에는 2개의 ThreadLocal 객체가 생성되는게 맞을까요?
2. 그러면 톰켓에서 시동시 만드는 스레드풀에 있는 200개 스레드 모두에
말씀하신 "스레드 내부의 저장소" (ThreadLocalMap with 2개의 key)가 생성이 될 것 같은데 맞을까요?
3. 만약 2번이 맞다면, 코드 이런 저런곳에서 LocalThread를 사용하게 되면
3.1 시동시에 좀 더 오래걸릴것 같은데, 혹시 시동시 부하가 걸리는가
3.2 시동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고 해도, 부작용이 있을수 있는가?
4. ProtoType의 Bean을 동적으로 만들고 그 Bean이 내부에서 ThreadLocal을 사용한다면
다른 Thread의 저장소(ThreadLocalMap)에서는 그 ThreadLocal의 저장공간이 없을것 같은데 맞을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2
0
질문4. ProtoType의 Bean을 동적으로 만들고 그 Bean이 내부에서 ThreadLocal을 사용한다면
다른 Thread의 저장소(ThreadLocalMap)에서는 그 ThreadLocal의 저장공간이 없을것 같은데 맞을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LEE YOO님께서 질문하신 ThreadLocal 관련 주제는 스프링과 비동기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거론되는 주제입니다. ThreadLocal 사용 시 주의할 점 및 부작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JVM 내의 ThreadLocal 객체:
ThreadLocal
변수는 고유한 객체로 생성됩니다. 따라서 Component A
와 Component B
의 ThreadLocal
은 별도의 객체로 존재하게 됩니다. 각 스레드는 ThreadLocal 객체에 각각의 값을 저장하게 됩니다.스레드풀에 생성되는 저장소:
ThreadLocalMap
에 필요한 만큼의 공간이 마련됩니다. 두 개의 ThreadLocal
객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각각의 ThreadLocal
은 모든 스레드에서 별도의 키로 관리됩니다.시동 시 부하 및 부작용:
ThreadLocal
자체로 인해 시동 시 부하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스레드풀의 크기가 매우 크고, 많은 ThreadLocal
이 존재할 경우 생성 및 초기화 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ThreadLocal
의 경우 가비지 컬렉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ThreadLocal.remove()
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가 누적되어 메모리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ThreadLocal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꼭 remove()
를 사용하여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사용을 검토하셔야 합니다.
다음의 유사한 질문링크도 참고해주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ThreadLocal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 쓰레드, 쓰레드 전용 보관소 관련 질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