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wonderwall09in님의 프로필 이미지
wonderwall09in

작성한 질문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회원 기능 테스트

실무에서 테스트 케이스 작성 시

작성

·

72

·

수정됨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잘 하던 도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강의에서는 Service 계층에서만 테스트를 하고 있고 Repository 계층에서는 따로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실무에서도 어차피 Service 계층이 Repository 계층을 당겨서 사용하는 것이기에 Service 계층에 대해서만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면 충분할까요 ?

그리고 강의에서 Member의 Name을 unique로 잡으라고 말씀하시고 있는데, 실무에서는 id로 검증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겠죠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서비스 계층에서만 테스트를 진행할 것인지, 혹은 레포지토리 계층까지 테스트할 것인지는 프로젝트의 규모와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각 계층별로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지만, 서비스 계층의 테스트가 잘 작성되어 있다면, 레포지토리 계층을 별도로 테스트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서비스 계층의 테스트가 레포지토리와의 상호작용까지 포괄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특정한 경우, 예를 들어 복잡한 쿼리나 데이터베이스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정확히 테스트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레포지토리 계층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Member의 이름(unique)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ID’ 필드를 통해 데이터를 식별하고 검증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입니다. ‘Name’은 사람이 인식하기 쉬운 필드로서의 역할을 하고,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유니크 키로 사용하기에는 중복이나 변경 가능성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ID’를 유니크 키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련하여 아래 링크에서 더 많은 논의와 경험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Service Layer Test와 Service Layer 관련 질문입니다
  2. 실무에서 사용하는 테스트케이스 질문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wonderwall09in님의 프로필 이미지
wonderwall09i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