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생각하는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생각하는자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애노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roy

@PostConstruct 및 @PreDestroy 사용시, 메서드를 public 대신 private로 해도 되는지?

해결된 질문

작성

·

56

0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

제목 그대로 이렇게 해도 되는지 알고 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일단 이렇게 한 이유는 "생성 및 끝날 때 만 쓰는 코드 이니까 private로 막는게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복습하면서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것 저것 실험하다가 밑에 사진의 코드 처럼 나오게 되었습니다.

(빈 으로 등록하는것도 private로 바꿀 수 있긴한데 이건 빈 이름을 무조건 넣어야 해서 의미 없네요.)

 

바꾼 코드들

image.png

테스트 결과

image.png

사진 처럼 이렇게 잘 실행되는것을 확인할 수 가 있었는데요.


혹 이렇게 바꿔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생각하는자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PostConstruct@PreDestroy 애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는 기본적으로 public으로 선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해당 메서드를 private으로 선언해도 Spring에서는 Reflection API를 이용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테스트가 성공한 것처럼, private 메서드로 선언하더라도 실제 실행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명시적으로 public으로 선언하는 것이 관례적이며 코드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 측면에서 권장됩니다. private으로 변경하는 경우, 팀 내 다른 개발자들이나 향후 코드를 리뷰할 때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주석이나 문서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빈으로 등록하는 메서드를 private으로 변경하는 것은 Spring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기에 권장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빈 등록 메서드는 public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이미지 출처: Image 1, Image 2

생각하는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생각하는자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