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4
0
저는 현직 웹 개발자로, 강화학습 및 머신러닝에 평소 큰 관심이 있어서 관련 강의를 꾸준히 듣고 있습니다. 최근 강의들은 분량이 짧아 접근성은 좋은데, 수학적 표현(수식, 기호)이 등장할 때마다 의도를 즉각적으로 해석하지 못하고 혼란을 겪습니다.
강의자 분께서는 '필요한 수학적 개념은 강의 중에 그때그때 이해하면 된다'고 안내하지만, 저에게는 수학적 진입장벽이 너무 높게 느껴지고, 결국 코드의 동작 방식만 어렴풋이 이해할 뿐 수학적 본질을 놓치게 되어 데이터 분석 분야 학습에 자꾸 실패감을 경험하고, 많은 관련 강의를 듣기를 실패한 경험들이 많습니다.
실무 개발자로서 강화학습과 머신러닝을 업무에 적용하고 싶은데,
수학적 배경이 깊지 않아도 어느 정도까지는 실무 적용 가능한 수준의 이해가 가능한지,
수학적 난관을 만났을 때 어떤 접근법과 학습 전략이 효과적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메타인지 방법이나 공부 전략은 무엇인지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개foot님.
강의를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화학습과 수학의 관계에 대해 질문 주시는 개발자분들이 많아, 실무자 관점에서 효과적인 접근법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수학적 깊이보다 '개념의 이해'가 중요합니다.
수학적 이론을 완벽히 증명하는 것보다, 각 요소가 왜 필요하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실무에서는 더 중요합니다.
개념과 직관 중심의 학습: 수식 자체에 매몰되기보다, '이 개념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가?'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프레임워크 활용: 복잡한 미분이나 행렬 연산은 TensorFlow, PyTorch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대부분 자동으로 처리해 줍니다.
데이터 시각화 및 해석: 수식의 결과가 만들어 내는 그래프의 모양과 그 의미를 읽어내는 능력이 핵심 역량입니다.
실험을 통한 감각 습득: 때로는 이론적 배경이 부족하더라도, 주요 파라미터를 직접 바꿔보며 결과의 차이를 몸으로 체득하는 것이 훌륭한 튜닝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2. 효과적인 학습 전략 및 접근법
수학적 개념이 막힐 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구조적 이해 선행: 텍스트나 수식보다, 전체 시스템의 구조와 데이터 흐름을 도표나 그림으로 먼저 파악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이론과 코드의 병행: 이론을 학습한 직후, 반드시 코드로 직접 구현해 보세요.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학습법입니다.
3. 학습 성취도를 확인하는 방법 (메타인지)
본인의 이해도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3가지 기준을 점검해 보세요.
전체 프로세스 구현 능력: '환경 설계 → 에이전트 학습 → 전략 튜닝 → 결과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힘으로 구현할 수 있는가?
결과 분석 및 설명 능력: 학습 과정에서 나온 성능 그래프를 보고, "왜 특정 구간에서 성능이 오르거나 떨어졌는지" 그 원인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가?
지식의 응용 및 확장 능력: 배운 강화학습 기술을 현재 업무나 전혀 다른 분야(예: 재고관리, 인력 스케줄링 등)의 문제에 적용할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하신다면, 수학에 대한 부담을 덜고 강화학습을 실무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