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수병수병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병수병

작성한 질문수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실전 웹 성능 최적화(feat. React) - Part. 1

1-8) bundle 파일 분석 (bundle-analyzer)

bundle analyzer 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44

0

performance 탭에서 다운로드가 오래걸리는 파일(0.chunk.js)이 bundle analyzer 에서 어떤 파일(static/js/2.4~~~.js)인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고 추측을 할 수밖에 없는 거겠죠?

 

복잡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땐 문제가 있는 파일이 무엇인지 찾기가 어려울 것 같은데, 어쩔 수 없는 걸까요...? ㅜ

답변 2

0

유동균님의 프로필 이미지
유동균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수병수병님

가능할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bundle-analyzer를 CLI로 실행을 했는데요,
그러지 않고 webpack의 plugin으로 설정하고 빌드하면 됩니다.

그러면 빌드하면서 그 빌드 내용을 리포트하기 때문에 파일명이 일치합니다.

 

강의에서는 편의상 CLI를 사용해서 사이즈와 타이밍으로 그 역할을 구분해야 합니다.
(또는 일부 코드 내용을 보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라며, 강의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수병수병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병수병
질문자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병수병님.

번들 분석과 관련된 문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성능 개선을 위해 흔히 접하는 도전 과제입니다. 특히, 여러 파일이 번들로 묶일 때 각 파일을 정확히 식별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소스맵(Source Map) 활용: 대부분의 번들러는 소스맵 생성 기능을 제공하여, 번들된 파일과 원본 파일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번들 파일이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즉 어떤 원본 파일에서 생성되었는지 더 쉽게 추적 가능합니다.

  2. 번들 파일 네이밍 전략: 번들 생성 시 파일 이름에 컨텍스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네이밍 전략을 개선하면, 어떤 파일인지 추측하기가 좀 더 쉬워질 수 있습니다. 웹팩(Webpack) 같은 번들러에서 이를 제어하는 옵션들이 존재합니다.

  3. Bundle Analyzer 도구 사용: Webpack Bundle Analyzer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면 번들된 파일의 크기 및 구성 요소를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도구를 통해 문제 파일을 식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런 도구를 설정하여 어떤 모듈이 번들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십시오.

  4. Lazy Loading과 Code Splitting: 필요한 시점에만 파일을 로드하는 방식으로 설정하여, 불필요한 파일이 초기 로딩 단계에서 번들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번들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 작업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성능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각기 다른 방법들을 조합하여 사용하시면 프로그램의 복잡도에 따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참고할 수 있는 기존 답변 링크는 찾지 못했습니다. 추가적으로 도와드릴 수 있는 부분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지식공유자께서 곧 더 자세한 가이드를 제공해 주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수병수병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병수병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