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3
0
load balancer 생성 -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서 생성과정 중
네트워크 는 public IP로 설정 후 서브넷 선택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알려주신대로 로드밸런서 전용 서브넷을 생성할 때
internet Gateway 전영요부를 N(Private) 로 선택할 경우
load balancer 생성과정에서 서브넷에 선택시 생성한 서브넷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서브넷 생성 창으로 가서 internet gateway 전용여부를 Y(Public)로 테스트용으로 만들어서 확인해보니 load balancer 생성 창에서 테스트용으로 생성한 서브넷만 보입니다.
이후 과정은 동일하게 쭉 진행하였고 서브넷을 internet gateway전용여부 Y(Public) 로 생성한 체로 나머지 테스트는 정상적으로 마쳤습니다.
질문
강의와는 다르게 서브넷 생성시 internet gateway Y로 했을 때만 로드밸런서 창에서 서브넷이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로드밸런서 생성 창에서 네트워크부분을 Public 선택할 경우 강의와 다르게 맨 하단에 공인 IP 선택란이 뜹니다. 강의 촬영시와 현재와 조금씩 인터페이스가 다를 순 있을 수 있다고 보는데 이 차이가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게 있을 까요? 무시하면 될까요?
답변 2
0
강의와는 다르게 서브넷 생성시 internet gateway Y로 했을 때만 로드밸런서 창에서 서브넷이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 I/G Yes 인 경우 퍼블릭 서브넷만 보이고, N 인경우 프라이빗 서브넷만 보입니다.
작업시 퍼블릿 서브넷만 만든경우 I/G Yes로 선택 해야만 보였을 겁니다.
로드밸런서 생성 창에서 네트워크부분을 Public 선택할 경우 강의와 다르게 맨 하단에 공인 IP 선택란이 뜹니다. 강의 촬영시와 현재와 조금씩 인터페이스가 다를 순 있을 수 있다고 보는데 이 차이가 테스트에 영향을 주는게 있을 까요? 무시하면 될까요?
--> 서로 관계가 없는것으로 생각 됩니다. 공인IP 선택창은 외부연결을 위한 IP를 새롭게 받거나, 기본 받은 공인 IP를 선택하기 위한 창 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ohanjo8458님께서 네이버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서 생성과정에서 서브넷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에 대해 질문을 주셨네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정보를 제공드리겠습니다.
로드 밸런서를 설정할 때, 서브넷이 로드 밸런서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구성 및 서브넷의 속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서브넷에 Internet Gateway 전용 여부를 N(Private)
로 설정할 경우, 이는 외부 인터넷과의 연결이 차단된 사설 서브넷으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퍼블릭 IP가 필요한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서브넷이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Internet Gateway 전용 여부를 Y(Public)
로 설정하면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퍼블릭 서브넷이 되어 리스트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로드 밸런서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해야 하므로, 퍼블릭 서브넷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작업 환경과 인터페이스는 클라우드 플랫폼 업데이트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 생성 시 네트워크 부분을 Public으로 선택할 때 공인 IP 선택란이 나타난다면, 이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 가능한 설정을 의미합니다. 이 요소는 퍼블릭 네트워크에서 로드 밸런서를 운영할 계획이라면 당연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인터페이스 변경이 테스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강의 자료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경우라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강의와 인터페이스가 다르다면, 이러한 변경사항을 무시하기보다는 최신 설정으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자료로 다른 학습자들의 관련 질문과 해결 과정이 기록된 게시물을 한번 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VPC 관련 설정 확인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