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9
0
안녕하세요 강사님.
질문에 이어 추가적으로 질문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랜덤포트로 사용되는 gRPC 서비스들 또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활용한 등록을 통한 gateway 에서 서비스 검색을 통해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요.
gRPC 를 사용할 때 관련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에서 서비스를 등록하거나 찾거나 하지는 않는 것 같은데 수동으로 구현을 하는지 보통 어떤 방식으로 구성을 해서 사용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의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램쥐뱅님,
gRPC 서비스를 랜덤 포트로 실행할 때,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활용하여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보통 서비스 디스커버리 툴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도구로는 Consul, Eureka 등이 있으며, Kubernetes 환경에서는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RPC는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자동으로 등록하거나 검색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동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Spring Cloud와 같은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기술 스택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고 서비스 간의 상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을 참고해 주세요.
람쥐뱅님 질문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