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4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서비스하고 싶은 사이트는 지금 예시로 만든 mbti 서비스처럼 정적웹으로는 조금 운영이 어려운 사이트입니다. 그래서 db 연결이 필수인데, rdbms 든, noSQL 기반 db 이든 클라우드 db를 써서 연결을하자니 용량에 따라 과금이 돼서 사실 부담이 좀 됩니다.
코배투님도 결국 사이트를 키우시면서 db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로 연결하셨을것 같은데 어떤걸 선택하셨나요? 만약 추천하신다면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었네요.
말씀하신 바처럼 서비스 초기부터 돈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 종량제로 과금되는 서비스가 저 역시 부담스러웠습니다.
그래서 Supabase를 적극 추천드리고 저도 시장을 Tapping할 때 고민도 안하고 쓰는 스택이에요.
Postgres 기반이라 깔끔하기도 하고 순수 DB 용도 뿐 아니라 소셜 로그인 등 Auth 구현도 편리하게 되어 있어서 정말 강추예요.
Supabase의 무료 티어를 사용하다가 분명 Quota를 넘어가는 시점이 오는데,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그쯤이면 트래픽이 돈벌기 괜찮은 트래픽이겠죠?
Supabase 강추드립니다.
다음 강의에서 더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에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세령님.
강의를 관심 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웹 서비스에서 데이터베이스(DB)를 연결할 때는 프로젝트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은 각 데이터베이스 유형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추천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옵션들은 각기 다른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규모 프로젝트 또는 초기에는 Firebase 같은 관리형 서비스가 좋을 수 있지만, 프로젝트가 성장함에 따라 MySQL 또는 PostgreSQL 같은 전통적인 RDBMS를 고려하실 수 있습니다.
비슷한 주제로 논의된 다음 질문도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호스팅 업체를 결국 AWS로 정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다음 강의도 소식이 있다면 꼭 들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