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0
0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를 들으며 스프링 시큐리티와 jwt 의 기본을 다시 익히면서 공부하였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코드를 보는 와중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JwtFilter에 TokenProvider 를 선언 시 final 키워드를 빼신 이유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다른 클래스에서는 TokenProvider를 선언 시 final 키워드를 붙이신 것으로 확인이 되었는데 필터에서만 제외하신 이유가 있을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yctjdghks님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JwtFilter
에서 TokenProvider
를 선언할 때 final
키워드를 제외한 이유에 대해 궁금해 하셨군요. 일반적으로 스프링에서 필드를 final
로 선언하면 해당 필드는 생성자 주입을 통해 초기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불변성을 보장하고, 객체가 생성된 후에는 해당 의존성이 변경되지 않도록 합니다.
하지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필드를 반드시 final
로 선언하지 않아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final
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유연성: 테스트나 다른 환경에서의 설정 변경을 위해 의존성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final
을 제거합니다.
프레임워크 사용: 스프링에서는 @Autowired
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데, 필드를 final
로 선언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해 주기 때문에 큰 문제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특별한 이유: 예제 코드에서 특별히 불변성을 강조할 필요가 없거나, 객체의 생성과정에서 다양한 초기화 절차가 포함되어 있다면 final
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final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면 의존성 변경을 방지하고 코드를 더욱 안전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일관성을 유지하려면 가능하면 final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더 알고 싶으신 부분이 있으신 경우, 아래와 같은 게시물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