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2
0
안녕하세요
선생님 덕분에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질문 있습니다.
작업형 유형 2
분류든 회귀든 랜덤포레스트 할때,
train_test_split 할때와 하지 않을때
f1_score나 accuracy_score 등 성능점수에 차이가 보입니다. (데이터 분할 시 성능이 더 낮게나옴)
제가 직접 해봤을 때
1. train_test_split 한 이후
x_val_pred = model.predict(x_val)
accuracy_score(x_val_pred, y_val) 성능 점수
2.별도 train_test_split 안하고
y_hat = model.predict(x_train)
accuracy_score(y_hat, y_train)시 성능점수
데이터를 분리한 1의 성능점수가 더 낮게 나오는데
왜 그럴까요,,,, ㅜㅜ
답변 2
0
네 ~ 답변드립니다. 데이터를 분할 했을때 성능이 낮게 나온 이유는 과적합 때문입니다.
2번 방법이 성능이 더 좋은 이유는 훈련할때 다 공부한 데이터로 그대로 시험을 보았기 때문에 더 좋은 결과가 나온거구요. 1번은 공부할때 한번도 보지못한 문제를 봐서 성능이 낮게 나온겁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진욱님께서 질문해 주신 train_test_split을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 차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train_test_split
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와 검증 데이터로 나누어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모델의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검증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train_test_split 사용 (1번 케이스):
train_test_split 미사용 (2번 케이스):
train_test_split
을 통해 검증 데이터에서 성능을 평가하면, 과적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존에 유사한 질문에 대한 토론이 있는 자료를 추천해드립니다:
- “훈련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성능 평가 차이”
- “train_test_split의 중요성 및 사용법”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