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2
1
37강 5분 11초에서 "처음에는 null로 되어있지만 값을 한 번 세팅할 수 있게 해주고 싶다."라고 하셨는데
처음부터 null을 할당하지 않으면 lateinit을 사용 안 할 수도 있는 거 아닌가요?
테스트코드에 대한 이해가 하나도 없어서 고른 강의인지라 질문의 깊이가 너무 없지만 답변주시면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apim님! 질문 감사드립니다😃
제가 빠르게 설명을 하다보니 다소 모호하게 설명을 하고 넘어간 것 같아요.
핵심은 이렇습니다:
@MockK 어노테이션은 테스트 실행 시점에 MockK 프레임워크가 mock 객체를 생성해서 주입해줍니다. 하지만 val
타입 변수에 = null
로 값을 미리 할당해두면, MockK가 나중에 그 값을 바꿀 수 없어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lateinit var
로 바꿔주면 "지금은 값이 없지만 나중에 할당될 것"이라고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것이죠. 제가 "처음에는 null로 되어있지만 값을 한 번 세팅할 수 있게 해주고 싶다"고 표현한 것이 바로 이 의미입니다.
원래는 init { }
블럭에서 lateinit var
변수를 초기화해야 하는데, @MockK
가 클래스 생성 시 자동으로 초기화를 수행해줍니다.
참고로 말씀하신 대로 @MockK
어노테이션 없이 직접 생성하는 방식도 좋습니다:
val princeRepository: PrinceRepository = mockk()
val woundedPrinceRepository: WoundedPrinceRepository = mockk()
val princeMakerService: PrinceMakerService =
PrinceMakerService(princeRepository, woundedPrinceRepository)
저도 과거에는 Mockito 스타일과 비슷하게 하려고 어노테이션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위처럼 mockk()
헬퍼 함수를 더 선호하고 있습니다. 더 명시적이고 간단하거든요!
질문해주셔서 저도 설명을 더 명확히 할 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