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조태준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태준

작성한 질문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정리

merge() 관련 질문

작성

·

27

0

안녕하세요.

영한님 책으로 복습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117p 에서 merge() 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내용 중에 아래의 내용이 있습니다.

2. 파라미터로 넘어온 준영속 엔티티의 식별자 값으로 1차 캐시에서 엔티티를 조회한다.

여기서 "준영속 엔티티면 1차 캐시에 당연히 없을텐데 왜 1차 캐시를 조회하지?" 라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질문1) 어떠한 경우 때문에 1차 캐시를 조회하는 것인가요?

 

추가로, 119p 에 아래의 내용이 있습니다.

병합은 준영속, 비영속을 신경 쓰지 않는다. ~ 따라서 병합은 save or update 기능을 수행한다.

질문2) save 기능을 하는 경우에 merge() 내부적으로 persist() 로직이 포함되어 있나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조태준님.

merge() 메서드에 관한 동작 방식은 JPA에서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 관리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질문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질문1) “준영속 엔티티면 1차 캐시에 당연히 없을텐데 왜 1차 캐시를 조회하지?”

  • 이유: 준영속 엔티티의 경우, 기존에 영속 상태였던 엔티티가 컨텍스트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영속화되려는 상황입니다. merge() 메서드는 기존의 동일한 식별자(identifier)를 가지는 엔티티가 현재 영속성 컨텍스트(1차 캐시)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다시 영속화할 때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이미 동일한 식별자의 엔티티가 1차 캐시에 존재할 경우, 불필요하게 DB를 조회하지 않고 빠르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관련 게시물: JPA 병합 관련 질문입니다 -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와 영속성을 관리하는 데 있어 merge와 캐시 사용의 의미가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질문2) “save 기능을 하는 경우에 merge() 내부적으로 persist() 로직이 포함되어 있나요?”

  • 답변: merge()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준영속 상태의 엔티티 정보를 복제하여 새로운 영속 상태 엔티티를 반환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엔 새로 생성합니다. 이 과정은 persist()와 유사하지만, 직접적으로 persist()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merge()는 새로운 엔티티를 생성하기 위해 영속성 컨텍스트에 기록을 새로 추가하게 됩니다.

  • 관련 게시물: Merge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 merge()의 내부적인 동작과 persist()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조태준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태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