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0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Order
<-> Member
는 N:1Order
<-> Delivery
는 1:1
관계이며, proxy 객체로 들고오는 것이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fetch join 을 이용하여 바로 데이터를 DB에서 들고 온 거고
OrderItems 는 조회문에서 뺀 다음
Order <-> OrderItmes 1:N Lazy 를 이용하여 proxy 상태로 들고 온 상태에서
.get() 과 같은 함수를 이용해서 그때 데이터를 채워놓은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OrderItems에 데이터가 DB데이터가 채워질 때 N+1 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건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또는 @BatchSize
이용하기에 그런 거구요.
그럼 만약에 Order 주문 조회 후 Controller 에서 해당 OrderItems 의 Class 를 확인하면 proxy로 나오게 되고, order.getOrderItems() 와 같이 호출을 하게 되면 OrderItems는 proxy 객체가 아닌 실제 DB조회데이터가 나오게 되는 걸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6udguin님.
질문 주신 내용은 JPA의 지연 로딩(lazy loading)과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설정과 관련된 메커니즘에 관한 것입니다.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지연 로딩(Lazy Loading): Order
와 OrderItems
가 1:N 관계로 설정된 상태에서, Order
를 조회할 때 OrderItems
는 실제로 필요할 때까지 조회를 지연시킵니다. 이렇게 할 때 OrderItems
는 초기에는 프록시(대리자) 객체로 로드됩니다.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의 역할: 이 설정은 N+1 문제 해결을 도와 줍니다. 여러 Order
엔티티를 로드하게 될 때, 해당 OrderItems
가 지연 로딩 상태라면 각 Order
마다 OrderItems
를 조회하게 되어 N+1 쿼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를 통해 한번에 여러 개의 관련 엔티티를 페치할 수 있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설정된 크기만큼 관련 엔티티 IDs를 in 절로 묶어서 한번에 가져옵니다.
프록시 객체에서 실제 데이터로의 전환: order.getOrderItems()
와 같이 메서드를 호출하면, 처음에는 프록시 객체였다가 이 시점에 진짜 데이터가 필요한 상태가 되므로 Hibernate는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여 프록시를 실제 엔티티 객체로 초기화합니다.
추가 정보 및 유사 질문에 대한 답변은 default_batch_fetch_size 원리에 대한 질문과 관련해서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default_batch_fetch_size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 OrderItems까지 같이 조회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 링크들은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가 어떻게 동작하고 쿼리들이 어떻게 묶여 나가는지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