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7
답변 2
1
안녕하세요? 답변드립니다!
우선, main 브랜치를 해당 지점으로 되돌리고 싶으실 것 같은데 '다시닉네임을쩜쩜쩜으로' 브랜치가 해당 지점으로 돌아가 있는 것 같습니다.
커서의 좌측 하단의 브랜치명을 클릭하신 후에 main을 누르셔서 main 브랜치로 먼저 돌아가 주세요. git checkout main
명령어를 실행해 주셔도 됩니다.
그 다음 지금 해주신 것 처럼 git reset --hard 810380ae
를 실행해 주세요.
그리고 원격에 올라간 내용도 삭제하고 810380ae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 git push --force
명령어를 실행해 주세요.
이렇게 하시면 main 브랜치가 깔끔하게 810380ae 위치로 돌아오고, 원격도 마찬가지로 해당 위치로 돌아오게 될 것입니다!
단, 이때 810380ae 이후 커밋은 모두 완전히 소실되니 주의해서 실행해 주세요~!
코드는 완전히 100% 돌아가는 것이 맞습니다만, 말씀해주신대로 버셀이나 수파베이스 세팅에 따라 조금 달라져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코드를 작업하시는 동안 버셀 세팅이나 수파베이스(특히 DB)에 변화가 있었다면, 이 부분은 별도로 직접 되돌려 주셔야 합니다. 큰 차이가 없다면 그대로 진행해 주셔도 되고, 문제가 있다면 되돌려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수파베이스에서 DB에 변환을 주는 쿼리를 실행하셨다면 해당 쿼리를 되돌리는 방법을 Cursor에게 물어봐서 해결하시는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kelo님께서 Git의 커밋 히스토리에서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려는데 어려움을 겪고 계시군요. Git에서 reset
명령어는 매우 강력한 도구로, 올바르게 사용하면 원하는 커밋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다른 문제로 인해 잘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점검 사항입니다:
파일 저장 상태 확인: 작업 중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파일이 저장되지 않으면, reset
명령어로도 커밋 상태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브랜치 상태 확인: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가 정확히 어느 브랜치인지 확인하세요. 잘못된 브랜치에서 reset
을 시도했다면 원하는 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CLI에서의 Command 실행: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시도해 주세요:
git checkout main
git reset --hard 810380ae
이전에 reset
명령어를 제대로 실행했는지 로그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저장소 일관성 체크: 저장소에 불일치가 있는지 Git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 git status
명령어로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CS 용 확장 도구: Visual Studio Code와 같은 IDE에 설치된 GitLens 등의 버전 관리 툴에서 직접 리셋을 시도할 때, UI 상의 오류나 설정 문제로 인해 실제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관련 설정을 점검해 보세요.
관심 있는 분들은 다음의 Git Reset 명령어에 대한 깊이 있는 활용법 정보를 살펴보시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 일단 뭔지 잘 모르겠지만 따라했더니 깔끔하게 맨위로 올라가고 기존에건 없어졌네요..
감사합니다~~ ^^
그런데 뭔가 원래 돌아갔던 사이트 페이지가 아닌듯..뭔가 조금 바뀐것 같은데(계속 수정했던 작업들 중에 한곳으로-이미 삭제된 커밋작업)
제 느낌이 맞나요? (이렇게 완벽하게 100%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있는지)
아니면 그냥 제 느낌인건가요?
(저 명령어는 무조건 저때 했던 모든 세팅(수파베이스,버셀세팅 등 모든게 원래대로))의 원래대로 돌아가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