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7
0
강의나 대부분 블로그 글에서 리터럴 타입을 문자와 숫자를 사용한 타입으로 설명 해주시는데
const a: [1, 2, 3] = [3]; // error
const b: [1, 2, 3] = [1, 2, 3]; // ok
const c: { name: "jsw" } = { age: 30 } // error
const d: { name: "jsw" } = { name: "jsw" } // ok
위 코드 처럼 다른 타입도 사용 가능 한 것으로 보이는데 왜 문자와 숫자에 제한해서 설명하시는지 질문 드립니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allmy님 이정환입니다.
숫자, 문자 값으로 제한되지 않습니다. 강의에서도 리터럴 타입이란 "딱 하나의 값만 포함하는 타입이다" 라고 말씀드리고 있을 뿐 숫자, 문자로 제한된다는 말씀은 드린적이 없습니다. 더불어 아래 첨부해둔 강의 캡쳐처럼 true나 false등의 리터럴 타입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이후의 챕터에서 객체 리터럴, 배열 리터럴도 사용할 예정이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llmy님, 리터럴 타입이란 특정한 값을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숫자, 문자열, 불리언 등과 같은 값을 사용하여 특정 값만을 허용하도록 타입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는 TypeScript의 타입 시스템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타입을 정의하여 코드를 안정적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리터럴 타입은 숫자와 문자열뿐만 아니라 불리언이나 객체, 배열 등의 타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타입은 해당 리터럴의 형태에만 맞는 값을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배열 리터럴 타입 [1, 2, 3]
은 정확히 그 형태의 배열만 허용합니다. 마찬가지로 객체 리터럴 타입 { name: "jsw" }
은 정확히 name
키와 값 "jsw"
만을 가지는 객체가 허용됩니다.
문자와 숫자로 제한해 설명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리터럴 타입의 기초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실제로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 가능하며, 리터럴 타입을 이용하여 타입의 고정된 값을 명확히 하고 개발자 의도를 더욱 정확히 코드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리터럴 타입에 대한 문맥을 명확히 이해하시려면, 타입스크립트 공식 문서나 리터럴 타입에 대한 진행된 논의들을 참고하시면 더욱 도움이 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제한 한다기보다 제가 본 자료 대부분에서 숫자와 문자에 대해서만 설명해서 질문드렸습니다. 강의에서는 제가 놓친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