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자,력/자소,쿠,CS지,올원,깃레님의 프로필 이미지
자,력/자소,쿠,CS지,올원,깃레

작성한 질문수

서류합격률 4%를 탈출하는 개발자 이력서 작성법(실습 포함)

이력서 옮기기 (실습)

프로젝트에 어떤 프로젝트를 넣으면 좋을까요?

해결된 질문

작성

·

86

0

일단 현장실습한 인턴 경험 6개월이 있습니다.

무엇을 했는지, 성과나 기여, 역할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한 내용은 대외비라 밝힐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프로젝트에 작성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력이나 대외활동에 적을까하는데

두 군대 작성을 분류해서 적어버리면 중복인 느낌도 들어서 한군대 작성할지 고민입니다.

저는 일단 경력 사항에 다 작성을 할까하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자문을 구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작성해서 넣으면 될지도 의문입니다.

 

추가적을 부트캠프을 1년 전에 한게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제가 지원하는 곳은 spring 백엔드이고,

부트캠프에서 프로젝트를 한 것은 django입니다.

그래서 이거를 대외활동에 녹여내야 할지, 아니면 프로젝트에 작성하는게 맞을지 고민입니다.

만약 대외활동으로 적는다면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까요?

 

지금도 최근 했던 프로젝트들이 있어서 프로젝트에 녹여낼 내용은 많습니다.

답변 3

0

강승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승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지식공유자 강승현입니다.

본문의 질문과 추가로 댓글 남겨주신 질문도 정리하여 답변드립니다.

 

1.인턴 경험은 "경력"에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핵심은 질문자님의 역할, 사용 기술, 기여(성과)를 중심으로 작성하는 거니까요.

경력사항 예시)

ㅇㅇ 기업 / 인턴 / 기간

사용기술: Redis, Github Actions, Java ...

- 대형 물류 시스템 내 발주처리 백엔드 기능 유지보수 및 개선
- 트래픽 병목 해결을 위해 Redis 기반 캐싱 구조 개선
- 배포 자동화를 위해 CI 파이프라인 일부 개선 참여 (GitHub Actions 사용)


2. 부트캠프는 "대외활동"으로, 프로젝트는 따로 "프로젝트" 항목에 작성하세요.

부트캠프 자체는 어떤 환경에서 어떤 기술을 학습했는지 중심으로 대외활동에 정리하고, 그 안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항목에 상세히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Django로 진행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Spring 기반 포지션에 지원하는 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Spring에 대한 이해도나 응용력은 다른 경험으로 뒷받침 하면 되고, Django로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과 프로젝트 완성도를 보여주면 됩니다.

👉 즉, 언어의 적합성보다도 어떻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했는지를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Django 프로젝트 외에도 작성할만한 유의미한 경험이 있다면("유의미"라고 한 것은 무작정 프로젝트 갯수가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적합성을 비교하여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3. 내용이 많을 경우는 "중요도 기준으로 정리"하세요.

  • 부트캠프 전체를 자세히 다 쓰기보단, 기술 성장에 도움이 되었던 부분 위주로 요약해서 작성하시길 바랍니다.

  • 프로젝트는 중요도/완성도 높은 1~2개만 상세히 작성하고, 나머지는 간단히 목록화해도 됩니다.

 

정리자하면,
인턴 경험은 경력란에 작성하시고, 부트캠프는 대외활동과 프로젝트로 나눠 구조화해서 작성하며, 내용이 많을 땐 지원 포지션에 맞는 키워드 중심으로 요약&생략해보세요.

이게 이력서와 면접 모두에 효과적인 방향입니다!

 

또 궁금한 점 있으면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0

추가적인 질문이 있습니다.

부프캠프 같은 경우는 교육 학습을 들으면서 습득하거나 실무학습을 체득한 내용도 있어서 프로젝트와 같이 적는다면 내용이 많아 질텐데 이럴때 어떡해야나요?
내용이 많아져도 괜찮을까요?

강승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승현
지식공유자

남겨주신 질문에 함께 답변드렸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자,력/자소,쿠,CS지,올원,깃레님.

이력서 작성 시, 프로젝트 및 경력 사항을 어떻게 적절히 구분하고 작성할지에 대해 고민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각 요소를 이력서에 효과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1. 인턴 경험 작성:

  • 경력 사항에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에서는 역할, 기여, 성과 중심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 대외비인 프로젝트의 경우 구체적인 기술 외에도 기여한 부분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지’,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해결했는지’를 비공개적으로 언급하여 역량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2. 부트캠프 경험 작성:

  • 부트캠프 경험은 대외활동으로 하여 짧고 간략하게 기술 스택과 주요 프로젝트 성과를 중심으로 작성하세요.
  • 특정 프레임워크(Django) 대신, 프로젝트에서의 배우고 익힌 기본적인 백엔드 개발 스킬이나 협업 경험 및 문제 해결 과정을 강조하는 것도 좋습니다.

3. 최근 프로젝트 작성:

  • 지원하는 포지션(spring 백엔드)과 관련된 최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작성하여 주요 경험을 전달하세요.
  • 특히 기여도와 성과(정량적 데이터 포함)를 나타내고, 직무와 관련된 장점을 부각시키세요.

유사한 사례 및 참조 URL

아래는 유사한 사례에서 참고할 수 있는 링크입니다:
-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에 관한 질문: 경력과 프로젝트의 구분 및 작성 방법에 대해 유사한 고민을 해결하는 답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력서를 구성하면, 각기 다른 경험을 잘 관리하고 자신의 강점을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자,력/자소,쿠,CS지,올원,깃레님의 프로필 이미지
자,력/자소,쿠,CS지,올원,깃레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