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아무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아무로

작성한 질문수

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29

1

제가 패킷 캡처 프로그래밍을 하던 중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부분인 packet_handler()함수에서
실제로 캡쳐가 된 패킷을 저장하는 변수인

const u_char* pkt_data <- 이 부분이 왜 포인터 변수로 선언이 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답변 2

1

널널한 개발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널널한 개발자
지식공유자

메모리가 저장된 주소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패킷의 내용이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전달함으로써 피호출함수에서 쉽게 대상 정보에 접근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무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아무로
질문자

아~ 이해했습니다~ 정말로 감사합니다

정리하면 패킷은 메모리에 저장이 되고

메모리의 주소는 포인터 변수만이 저장

할 수 있기 때문에 포인터 변수를 사용해야 하는 거죠??

널널한 개발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널널한 개발자
지식공유자

네, 맞습니다. 😄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아무로님.

패킷 캡처 프로그래밍에서 const u_char* pkt_data가 포인터로 선언되는 이유는 패킷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서입니다. 패킷 캡처는 실시간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며, 각 패킷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포인터를 사용하면 메모리의 특정 위치를 가리켜 데이터를 직접 참조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를 복사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과 예제를 보고 싶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패킷 캡처에서 포인터 사용의 이유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무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아무로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