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티티티님의 프로필 이미지
티티티

작성한 질문수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벌크성 수정 쿼리

강의 10:25 질문

작성

·

36

0

안녕하세요,

 

강의 10:25에서 다루신 내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1차 캐싱된 멤버 객체들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벌크 업데이트를 하면 DB를 바로 통하므로 영속성 컨텍스트와 디비의 상태가 달라 예상치 못한 에러를 겪을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궁금한점은, Spring Data JPA에서 메소드로 정의한 벌크 연산이 결국은 @Query 어노테이션에 JPQL로 작성했으니, JPQL 실행 전 flush 처리가 되는게 아닌건가요? 그렇다면 말씀하신 에러가 없을 거 같은데...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티티티님

질문해주신 상황에서는 JPQL이 실행되기 전, 영속성 컨텍스트가 자동으로 flush를 통해 변경 사항을 DB에 반영합니다. Spring Data JPA에서 @Que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JPQL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벌크 연산이 실행되기 전에 이미 변경된 영속성 컨텍스트의 내용이 DB에 반영되므로 일반적인 경우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벌크 연산 자체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DB에 직접 적용되므로, 이후 영속성 컨텍스트에 남아 있는 캐시가 구 Update된 DB 상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벌크 연산 후에 em.clear()를 호출하여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우고, 다음 쿼리에서 새로운 상태를 DB에서 다시 조회하도록 합니다.

관련하여 도움이 될 만한 추가 게시물을 소개드립니다:
1. “벌크 연산시 flush 호출 여부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 JPQL 실행 전 flush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 담겨 있습니다.
2. “벌크연산 후 em.flush(), em.clear()에 동시성 이슈는 없나요?” - 벌크 연산 후 flush와 clear의 중요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티티티님의 프로필 이미지
티티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