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부드러운 족제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부드러운 족제비

작성한 질문수

React 완벽 마스터: 기초 개념부터 린캔버스 프로젝트까지

고급 - 데이터 캐싱, Devtools

데이터 캐싱 부분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작성

·

66

0

안녕하세요 현재 고급- 데이터캐싱 부분의 강의를 보고 있는데 Fresh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가져온 후 저장되어 있어 이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다 Stale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다시 데이터가 요청되어 가져온다 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맞는걸까요?

답변 2

0

짐코딩님의 프로필 이미지
짐코딩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React Query(TanStack Query)의 데이터 캐싱 메커니즘을 설명드리자면:

  1. Fresh 상태: 데이터를 처음 가져오면 이 데이터는 "신선한(Fresh)" 상태로 캐시에 저장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동일한 쿼리를 실행할 때 네트워크 요청을 하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바로 사용합니다.

  2. Stale 상태: staleTime이 지나면 데이터는 "오래된(Stale)" 상태가 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 화면에 해당 데이터를 보여줄 때는 일단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동시에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refetch(재요청)을 수행하여 최신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 새 데이터가 도착하면 UI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 덕분에 사용자는 항상 데이터를 볼 수 있으면서도(캐시 덕분에), 최신 데이터도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백그라운드 refetch 덕분에).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부드러운 족제비님.

귀하께서 말씀하신 데이터 캐싱 개념은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우선, 데이터 캐싱은 네트워크 요청을 최소화하고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귀하의 이해가 거의 정확합니다.

  • Fresh 상태: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가 업데이트된 상태이며, 네트워크 요청 없이 사용됩니다.
  • Stale 상태: 데이터가 오래돼 가치가 떨어져, 일단 사용은 가능하지만 곧 새로운 데이터를 받아야 하는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가 갱신됩니다.

React Query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데이터가 Stale 상태일 때 자동으로 데이터를 다시 가져오는 메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된 질문 스레드를 참고해 보시면 좋습니다: Todo Context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부드러운 족제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부드러운 족제비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