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wonderwall09in님의 프로필 이미지
wonderwall09in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직접 구현하는 Set4 - 제네릭과 인터페이스 도입

hashIndex함수의 매개변수가 E가 아닌 이유

작성

·

66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제네릭 Set 4 부분 강의에서 질문드리고 싶은 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private int hashIndex(Object value){

    return Math.abs(value.hashCode())%capacity;

}

이 부분에서 매개변수가 E value가 아닌 Object 로 들어오는 이유는 타입 이레이저 때문일까요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onderwall09in님.

질문하신 내용은 제네릭과 관련된 자바의 타입 이레이저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습니다. hashIndex 함수에서 매개변수를 E가 아닌 Object로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점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1. 타입 이레이저(Type Erasure): 자바의 제네릭은 컴파일 단계에서 타입 검사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는 런타임 시 모든 제네릭 타입 정보를 제거합니다. 즉, 최종 바이트코드에서는 제네릭 타입 EObject로 대체됩니다. 따라서 런타임 시점에서는 모든 객체가 Object 타입으로 취급됩니다.

  2. 유연한 매개변수 처리: hashIndex 메서드 내부에서 제네릭 타입 E에 대해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면, Object를 사용하여 메서드를 좀 더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메서드가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처리하는 것이 목적일 때 유용합니다.

  3. 콘크리트 클래스의 구현: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에서 제네릭 타입을 선언하고 구현체에서는 이를 실제 타입으로 결정하는 상황에서, 구현체는 특정 타입을 강제하지 않기 위해 Object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비슷한 질문을 다룬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더 나은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음은 유사한 주제를 다룬 기존 질문입니다:

해당 링크에서는 매개변수 명명의 원칙과 관련된 추가적인 논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wonderwall09in님의 프로필 이미지
wonderwall09i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