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0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Qualifier
관련해서 혼자 몇 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다음과 같이 진행이 되더라고요.
" @Qualifier를 사용해 검색하도록 지정하면, (qualifier로 찾지 못하더라도) 기존에 사용하던 type 매칭으로는 검색하지 않는다. "
코드 쳐보면서 위와 같은 사실은 알았는데, 왜 위처럼 되도록 설계했는지 그 의도는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질문글 남기면서 든 생각은 "Qualifier라는 더 자세한 검색 방법을 지정해주었으니, 이보다 덜 자세한 다른 것은 무시? 또는 오버라이딩? 한다. " <- 이렇게 되는 것인가 싶네요.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Qualifier
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의존성 주입 시에 더욱 세밀한 빈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애노테이션입니다. @Qualifier
를 사용하면 같은 타입의 빈들 중 특정 이름을 가진 빈을 선택하여 주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도하지 않은 빈을 주입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Qualifier
사용의 의도명확한 식별: @Qualifier
는 같은 타입의 여러 빈이 존재할 때, 명확한 식별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문에 @Qualifier
가 지정된 경우, 이것이 우선되어 해당 이름의 빈을 찾으려고 합니다.
오류 방지: 타입 매칭에 의존할 경우, 동일한 타입의 여러 빈이 존재할 때 어떤 빈이 선택될지 명확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더 디테일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구체성 원칙: 더 구체적인 규칙이 있는 경우, 그것이 우선 적용됩니다. @Qualifier
는 타입이 아닌 이름까지 지정하여 빈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 구체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이런 방식으로 설계해 놓은 이유는, 예상치 못한 빈이 주입되는 것을 예방하고, 개발자가 명확하게 의도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예시는 스프링 문서에서 참고해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