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2
0
큰돌님 비트마스킹을 공부하면서 계속해서 드는 생각이라 질문해요. 생각해보면 비트마스킹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들은 재귀함수를 이용한 완전탐색으로 전부 풀 수 있다고 생각해요. 물론 비트마스킹을 이용하면 메모리나 CPU 연산 측면에서 조금 더 빠르긴 하겠지만,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막 체감이 큰 느낌은 아닌 거 같아요. 그래서 비트마스킹을 문제를 조금 더 다양하게 풀 수 있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이정도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아니면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물론 다양하게 생각하는 게 좋은거지만 직접적으로 큰 영향력 있는 이론은 아닌 거 같아서 질문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병욱님 ㅎㅎ
생각해보면 비트마스킹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들은 재귀함수를 이용한 완전탐색으로 전부 풀 수 있다고 생각해요.
-> 네 맞습니다. 다만, nC1, nC2, nC3 ... 을 모두 생각해야 하는 문제의 경우 비트마스킹으로 푸는게 쉽습니다.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유병욱님, 비트마스킹에 대한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비트마스킹은 알고리즘 문제 해결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비트마스킹은 주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할 때, 특히 부분 집합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비트마스킹의 강점과 제한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 비트 연산 자체는 메모리 효율성이 높습니다. 이는 특히 메모리 크기에 제한이 있는 경우 도움이 됩니다.
빠른 연산: 비트 연산은 많은 경우 O(1) 시간 복잡도를 가지기 때문에, 반복적인 수학적 연산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재귀적 깊이탐색(DFS)보다는 확실히 빠른 경우가 많습니다.
간결한 코드: 경우 수를 나타내기 위한 부울 배열 등을 함께 사용하지 않고도, 비트 연산으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직관성 부족: 비트마스킹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코드가 다소 비직관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학습과 연습이 필요합니다.
제한적인 사용: 모든 문제에 비트마스킹을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문제 유형에 따라, 특히 집합 연산이나 조합 계산에서 적합합니다.
유병욱님께서 언급하신 대로, 비트마스킹을 통해 문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특정 문제에서는 비트마스킹이 없이는 시간 초과 또는 메모리 초과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에서 비트마스킹은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해서 이미 많은 논의가 있는 게시물을 추천드리니,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 비트마스킹 사용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비트마스킹의 활용 장점 및 완전 탐색과의 비교점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