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44
0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듣기 전 혼자서 풀어보았는데요.
https://www.acmicpc.net/source/share/8f9582112fc04858be9fdaf7e4097c85
처음 문제를 접근할 때 100까지 높이가 들어와도, 입력 예시와 같이 최대 높이가 9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소요 시간을 줄이고자 while(최대 높이 --) 와 같이 로직을 구성하였는데요,
강의 시청 후 강사님 코드를 제출해보면 제 코드와 동일하게 소요 시간은 20ms 임을 확인하였습니다.
높이의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재귀 함수를 호출해가며 체크하게 되면 시간 초과가 발생할것이라 예상했고 시간 초과가 나지는 않아도 더 오래 걸릴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소요되는 시간은 동일해서 어떻게 동일한지 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ㅎㅎ
제 코드랑 비교해면 while문,초기 mx부분으로 바꾼 것 말고는 딱히 없는 것 같은데요 ㅎㅎ
(dfs 및 초기화도 동일)
혹시 더 오래 걸릴것이라고 생각한 이유가 또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yundaiCanI님.
해당 문제에서 높이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반복문을 돌리는 방법과, 실제 입력값에서의 최대 높이까지만 반복문을 돌리는 방법 모두 똑같이 효율적인 성능을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문제의 입력 크기(N x N)가 상대적으로 작고, 최대 100의 반복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최악의 경우 수천 단위의 반복문이 돌아가는데, 이는 현대적인 컴퓨터 성능에서 충분히 빠르게 처리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오히려 이 경우에 다양한 높이에서 안전 영역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 DFS나 BFS의 시간 복잡도에 큰 변화를 주지 않습니다. 고로, 반복문의 횟수를 줄인다고 해서 뚜렷한 성능 향상은 눈에 띄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이와 관련된 비슷한 질문들을 참고하실 수 있는 링크를 제공드리겠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