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ev kang님의 프로필 이미지
dev kang

작성한 질문수

하루 100만 원을 벌게해준 프리랜서 노하우 완벽 정리

견적 산출하는 법

안녕하세요...프리랜서가 되고 싶어 이제 강의를 듣고 있는데요..

작성

·

57

0

1. 두개 다 404가 뜹니다..이제 아예 없어진 건가요..
고객사를 위한 견적서 다운로드 페이지

https://fingr.io/estimates

 

개발자를 위한 견적서 만들기 기능

https://fingr.io/quotations

2. 원래 nuxt.js를 하려다가 강의 서두에 svelte kit을 하라고 하시는 것 보고 확인해봤는데,
아직도 jquery, ajax로 개발하던 저에게는 아주 효율적인 것 같아요.

그런데 강의를 올리신 시점이 작년 4월이시던데..
혹시 svelte kit에 대한 생각이 아직도 변함 없으신가요?
뭔가 유튜브라던지 자료가 별로 없어서요.
반짝 하고 사라지려나 싶은 걱정도 있어서 그렇습니다.

빠르게 1인개발하기에는 너무 좋은 도구 인것 같긴한데, 어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를 골라야 할지 고민이라서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견적서 작성 기능은 핑거에서 작년까지 유료로 제공하고 있었다가

현재는 개편되면서 해당 기능이 제거되었습니다

다른 업체의 기능을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이용에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https://www.postoo.io/

 

  1.  

스벨트가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리액트가 워낙 대세이다보니

스벨트가 리액트를 넘어 '주류'가 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근데 그건 nuxt(vue)도 마찬가지여서, nuxt냐 sveltekit이냐를 정하는 기준은

'취향'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가벼운 고객사 프로젝트나 토이 프로젝트를 nuxt로, sveltekit으로 하나씩 해보시고

내가 더 재미있고 마음에 드는 기술을 골라보세요.

적어도 vue나 svelte가 몇 년 내에 사라지지는 않을 것 같아요

 

참고로 전 현재는 루비온레일즈로만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벨트킷 너무 좋지만 데이터베이스, 인증, 스토리지, 채팅, 큐, 캐시 등을

풀스택으로 제공해주는 레일즈보다는 기능이 부족해서요

이건 next.js, nuxt.js도 비슷합니다.

근데 레일즈 쓰세요 라고 권하기는 또 쉽진 않아요

내 서비스라면 내 마음대로 스택을 정할 수 있지만

고객사 프로젝트라면 고객사에게 기술 스택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하거든요

 

딱 정답을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제가 위에서 말씀드린 고려사항들을 고민해보시고

한 번 정해서 진행해보시고 또 아니다 싶으면 바꿔보고

그렇게 의견을 쌓아가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ev kang님!

  1. 링크에서 제공되었던 핑거(fingr.io)의 견적서 관련 기능이 현재 404 오류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해당 서비스가 종료되었거나, URL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핑거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아쉽게도 현재로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만, 다른 비슷한 견적서 생성 도구들을 활용해 보시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2.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Svelte Kit은 여전히 많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효율적인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입니다. 특히, 빠른 개발 속도와 간결한 문법으로 인해 1인 개발자나 작은 프로젝트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우려하시는 것처럼 개발 자료나 커뮤니티의 크기에서는 아직 React나 Vue.js와 같은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에 비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실제 활용 전에 스타트업의 방향성과 개발 생태계에서의 위치를 잘 고려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하여, Svelte와 React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안녕하세요. 질문 여쭙니다. 게시글의 답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선택은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 개발자의 선호도, 커뮤니티 지원 등을 잘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선택하는 것은 변동성이 클 수 있는 결정임으로,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기술 동향을 파악하며 방향성을 정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ev kang님의 프로필 이미지
dev kang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