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15
·
수정됨
0
Hibernate Connection Lifecycle 수업은
해당 내용을 이해가 안되서 몇번 봤지만 결론적으로 디폴트 설정은 save할때 마다 오토커밋 때문에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해당 설정 hibernate.connection.provider_disables_autocommit=true 을 통해서 오토커밋을 방지하면 성능이 향상되는걸로 이해 하였고, 일관성 있는 트렉젝션 처리로 @transactional로 관리 한다,, 라고 이해 하였습니다
맞을까요,,? 혹시 해당 내용이 아니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덕분에 공부는 많이 되네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강개발자님께서 이해하신 내용이 대체로 맞습니다. Hibernate의 디폴트 설정은 auto commit
상태로, 각 save
호출 시마다 커밋이 일어나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ibernate.connection.provider_disables_autocommit=true
설정을 통해 오토커밋을 방지하는 것은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일관성 있는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서는 @Transactional
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경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계속해서 공부에 힘쓰시고,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Spring 데이터 접근 관련 문서 및 Hibernate 구성 관련 자료도 참고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