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9
답변 2
1
1번의 방식에서도 nest 가 알아서 싱글톤으로 관리를 해줍니다.(local module에만 국한), 타 모듈에서 불러와서 사용해야하는 전역 component 와 같은 영역 외 타 모듈을 import 로 불러오는 방식은 강결합 영역에서의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현재 강의영역의 범위 밖이긴 하지만, 타 모듈간의 자원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DI를 모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듈끼리의 결합도를 없애고, 모듈 내 응집도를 높이는 방식)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eYeong님께서 코드를 통해 모듈 레포지토리를 등록하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해 질문해주셨네요. 각각의 방식은 NestJS에서 어떻게 DI(Dependency Injection)을 처리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viders
에 직접 등록imports
에 등록실제 실무에서는 성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대체로 다수의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면 위에서 설명한 2번 방식이 더 일반적입니다.
이 질문에 대해 더 많은 설명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관련 질문을 참고하시길 권장합니다. 다음은 유사한 질문의 예입니다:
- “NestJS 모듈 등록 방식과 DI 실무 적용”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