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작성
·
70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섹션2.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강의와 관련지어서 질문좀 드립니다.
SOLID 설명 강의해서 DIP 의존관계 역전원칙 설명하실때 역할(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해야한다. 구현체에는 의존하면 안된다.
라고 설명하셨는데요.
이 말의 의미가 주체와 상관없이 인터페이스(역할)에만 의존하라는 말인가요?
쉽게 말해서 주체가 되는 것이 구현 클래스든 인터페이스(역할)든 상관 없나요?
이번 강의의 9:45 경 코드을 보면
MemberServiceImpl은 MemberService의 구현 클래스인데 MemberRepository에 의존하고 있잖아요?
그러니까 DIP 원칙을 따졌을때 의존 대상만 인터페이스를 의존하라는 것이지 주체는 MemberServiceImpl 처럼 구현체이든 상관 없는것인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oon6669님, DIP(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와 관련하여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IP는 객체 지향 설계의 원칙 중 하나로, “고수준 모듈은 저수준 모듈에 의존해서는 안 되며, 둘 다 추상화에 의존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즉, 코드에서 고수준 모듈은 인터페이스(역할)만을 의존해야 하고, 구체적인 구현체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죠.
이를 코드로 설명하자면, MemberServiceImpl와 같은 클래스가 특정 구현체인 MemoryMemberRepository에 직접 의존하지 않고, MemberRepository라는 인터페이스(역할)에 의존함으로써, 나중에 다른 구현체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DIP의 핵심은 이처럼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자는 데 있습니다.
귀하의 질문에서 MemberServiceImpl이 MemberRepository에 의존하는 것은 DIP 원칙을 잘 따르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의존 대상을 인터페이스로 한다’는 것입니다. MemberServiceImpl이 구현 클래스인 것은 원칙과 무관하며, 중요한 것은 MemberServiceImpl이 어떤 구현체가 아닌 인터페이스를 의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관련하여 비슷한 질문과 답변 링크를 참고하시면 더욱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잘모르겠네요우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