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23
0
Set에서 Map으로 자연스럽게 빌드업되는 과정에서
Set + value = Map이 되는 객체지향의 묘미를 다시 한번 느껴보나 기대했는데
표준 라이브러리의 실제 구현은 반대로 Map - value = Set 이었네요 ㅠㅠ
java.time 패키지의 딱딱 맞아떨어지는 조립방식에서 느껴졌던 희열은 어디갔을까요
자바의 내장 자료구조가 저렇게 부자연스럽게 되어있는 특별한 이유라도 있을까요?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포기해서라도 얻는 성능적인 이점이 있는건가? 싶은데요
정확한 사정은 당사자들만 아는거겠지만 혹시나 선배님들은 아시는게 있을까 여쭈어봅니다..ㅠㅠ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askell님이 제기하신 질문은 자바의 HashSet
과 HashMap
의 구현 방식 및 그 이유에 대한 것으로, 특히 객체지향적 관점에서의 디자인 선택이 부자연스럽다고 느끼시는 부분에 대한 것입니다.
자바의 HashSet
은 내부적으로 HashMap
을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이는 Set
이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빠른 검색과 삽입/삭제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HashMap
의 성능적 이점과 데이터 저장의 최적화를 활용하기 위해 HashSet
의 내부에서 HashMap
을 사용하는 구조를 선택한 것입니다. HashSet
의 각 요소는 HashMap
의 키(key)로 저장되며, 값(value) 부분은 상수(dummy value)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현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선택되었습니다:
성능 최적화: HashMap
은 해시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여 상수 시간(O(1))의 검색과 삽입/삭제가 가능합니다. HashSet
은 이러한 HashMap
의 성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성 증가: 이미 검증된 HashMap
의 코드를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코드의 안정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메모리 측면: HashMap
의 각 항목은 메모리 활용을 최소화하기에 효율적이며, 상수 값(DUMMY_VALUE)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메모리 사용을 방지합니다.
결론적으로, 자바의 HashSet
과 HashMap
의 구현은 성능과 코드 재사용성 면에서 장점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가 선택되었습니다. 이러한 디자인 선택은 성능과 효율성을 비롯하여 구현의 복잡성을 낮추는 데 중점을 둔 것입니다.
관련하여 더 깊이 있는 설명이나 토론을 원하시면, 다른 질문 게시글에서도 유사한 내용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바에서 구현된 hashset 에서 hashmap을 쓰는 이유”라는 질문 게시글에서 HashSet과 HashMap의 관계와 그 구현의 이유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