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74
·
수정됨
0
강의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거지만..
실제 주소값으로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가? 입니다
아무리 배열이 인덱스의 실제 주소값을 한번에 계산해서 찾는 구조라고는 해도 결국 그 주소까지 이동하는건 시간이 걸릴거같은데요
예를들어 그게 10억 번째 인덱스라면 거기까지 순간이동 할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인덱스 번호에 비례해서 시간이 더 걸리긴 할거같은데..
이건 너무 인간의 관점에서 생각하는거고 실제로 컴퓨터는 다르게 동작하는 걸까요??
제가 생각해도 너무 무식한 질문이긴한데 의문을 해소하고자 질문 드립니다 ㅠㅠ
============================
수강을 더 진행하다보니 실제 성능 설명 파트에서 메모리 접근에 대한 얘기를 해주셔서 의문이 자연스럽게 해결됐습니다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askell님이 제기하신 질문은 메모리 접근 시간에 대한 흥미로운 고민이네요. 컴퓨터 과학에서 배열의 인덱스는 메모리에서의 주소를 기반으로 빠르게 계산됩니다. C나 Java와 같은 언어에서 배열이란, 사실상 메모리의 연속적인 공간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입니다. 그렇기에 배열의 특정 인덱스를 찾는 시간복잡도는 O(1)로, 대부분의 상황에서 상수 시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접근의 효율성: 현대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접근은 매우 효율적입니다. RAM(Random Access Memory)은 이름 그대로 임의 접근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인덱스를 통한 주소 계산은 직접적인 주소 계산을 통해 즉시 접근 가능하게 합니다.
CPU 구조와 최적화: CPU와 메모리 사이에는 연속적 접근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최적화가 들어갑니다. 캐시 메모리 사용과 같은 기술이 대표적이며, 이는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에 대해 빠른 접근을 지원합니다.
관련하여 궁금증이 풀릴 수 있는 기존의 질문 & 답변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설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메모리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 방식은 컴퓨터 과학의 중요 주제 중 하나이니,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