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8
·
수정됨
0
로그인 기능을 위해 Spring Security Config 구현 후 실행 했을 때, BCrypt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유는 제가 회원가입 기능 없이, User 정보를 DB에 직접 insert 후 로그인 시도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회원가입을 위한 Controller, html 파일을 만들었고, Security Config에도 회원가입을 위해 필요한 코드를 일부 추가 하였습니다.
원래 제 계획은
로그인을 위한 Config 파일 생성 후 commit 할 생각이었는데...
에러가 나서 임시로 회원가입 기능을 추가하다보니....
지금은
로그인 기능을 위한 Security Config , 회원가입 기능을 위한 Security Config, 회원가입 기능을 위한 Controller , HTML 파일 총 4개의 파일에 대한 commit 을 한번에 올려야 하는 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심지어 저 회원가입을 위한 기능은 임시로 만든거라 나중에 다시 삭제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 commit 단위를 어떻게 가져가야할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하님께서 직면하신 상황에서 커밋 단위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커밋은 하나의 의미 있는 변경사항마다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는 임시로 추가된 코드와 원래 계획한 기능 구현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보실 수 있습니다.
기능 별로 커밋하기: 로그인 기능과 관련된 Security Config 파일 변경사항은 하나의 커밋으로 묶고, 임시로 추가된 회원가입 기능과 관련된 Security Config, Controller, HTML 파일 변경사항은 별도의 커밋으로 나누어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임시로 추가된 기능을 제거해야 할 때 해당 커밋만 revert 또는 삭제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임시 기능 태그 붙이기: 임시로 추가된 기능에는 커밋 메시지에 [TEMP]
태그 등을 붙여서 나중에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기능은 쉽게 찾아서 수정 또는 제거할 수 있습니다.
각 커밋에는 변경된 이유와 어떤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명확하게 기술하면 나중에 변경사항을 추적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상적인 커밋 메시지는 짧고 명확하며, 변경사항의 의도를 잘 설명해야 합니다.
참고로, Spring Security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오류나 설정 문제는 Spring Security 프로젝트 페이지에서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