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5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16:18 정도에 나오는 2000년대생이 없는 부서의 id와 name을 찾는 것에서 아래와 같이 쿼리를 하셨는데요:
mysql> SELECT D.id, D.name
-> FROM department AS D
-> WHERE NOT EXISTS (
-> SELECT * FROM employee E
-> WHERE D.id = E.dept_id and E.birth_date >= '2000-01-01');
위의 쿼리를 다음과 같이 바꾸니 아무런 결과가 출력되지 않고 Empty set이라고 나옵니다.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두 쿼리에서 다른점은 빨간 글씨로 써놨는데요. subquery에서 department를 다시 D로 한번 불러준 것 외엔 없습니다.
mysql> SELECT D.id, D.name
-> FROM department AS D
-> WHERE NOT EXISTS(
-> SELECT * FROM employee E , department D
-> WHERE D.id =E.dept_id AND E.birth_date >= '2000-01-01');
Empty set (0.00 sec)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언제나처음처럼님, 제시하신 SQL 쿼리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쿼리에서는 NOT EXISTS
절 내의 서브쿼리에서 employee
테이블과 department
테이블의 조건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각 부서마다 2000년 이후에 태어난 직원이 존재하지 않는 부서를 반영하는 올바른 결과가 반환됩니다.
하지만 두 번째 쿼리에서는 employee
테이블과 department
테이블이 함께 FROM
절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모든 employee
-department
조합이 생성되며, Cartesian Product가 발생합니다. 그로 인해 D.id = E.dept_id
조건이 충족되면서 여전히 2000년 이후에 태어난 직원이 존재한다고 해석되기 때문에, 결국 NOT EXISTS
절이 항상 FALSE
를 반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Empty set”으로 결과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서브쿼리 내에서 department
테이블을 중복해서 불러올 필요가 없으며, 첫 번째 쿼리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올바른 결과를 얻는 데 적합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