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리터럴 질문
작성
·
104
·
수정됨
답변 2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민정님.
자바에서는 리터럴이라는 고정된 값을 변수에 할당할 때, 그 리터럴이 어떤 타입으로 해석되는지에 대해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숫자 리터럴 10은 기본적으로 int 타입으로 해석됩니다. 만약 long 타입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10L과 같이 L을 뒤에 붙여서 사용해야 합니다. 문자열 리터럴은 "안녕하세요"처럼 따옴표로 감싸져서 명확히 String 타입임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터럴의 타입은 문법적으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 기존의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변수의 값과 리터럴”: 리터럴의 타입과 관련된 설명이 포함된 강의 질문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변수에 기본형 리터럴이 바로 저장되는게 아니라, 기본형마다 상수풀이라는 특정 메모리 공간이 존재하고 (ex-정수 리터럴 상수풀, 실수 리터럴 상수풀)상수풀 안에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리터럴들이 타입에 따라 각 상수풀에 저장해두고 int a = 10의 코드가 있다면 변수 a에는 정수 리터럴 상수풀에 저장된 10이라는 값의 메모리주소값으로 리터럴을 참조한다는 뜻인건가요 ...? 상수풀을 확인해봤을 때 기본형 리터럴은 저장되지 않는 걸로 확인했는데,, 이해가 잘 안됩니다
질문 1,2번 둘다 답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