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75
0
http://boj.kr/b3912cd4b65448baa4a27bea951494cb
안녕하세요, 큰돌님.
해당 문제를 queue를 이용한 BFS로 풀었습니다.
더 효율적으로 수정할 부분이 있을까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ㅎㅎ
먼저 BFS로 잘 하셨습니다. 다듬을 부분이라고는 없는 것 같습니다. 좋은 너비우선탐색이네요 ㅎㅎ
다만, bfs로도 잘 하셨지만 사실 이 문제는 그걸 사용하지 않고 -> 더 단순하게 풀 수 있는문제입니다.
단순하게도 풀어보는 시도도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ㅎㅎ
또 질문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 부탁드립니다.
좋은 수강평과 별점 5점은 제게 큰 힘이 됩니다. :)
감사합니다.
강사 큰돌 올림.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rigade98님.
BFS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셨군요. BFS(너비 우선 탐색)는 그래프나 트리 구조에서 최단 경로를 탐색할 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하지만 BFS의 효율성은 주로 탐색하는 범위와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다 효율적인 BFS 구현을 위한 몇 가지 조언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Visited 배열 사용: 이미 방문한 노드는 다시 방문하지 않도록 visited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불필요한 탐색을 피할 수 있습니다.
상수 시간의 최적화: BFS 탐색 과정에서 대기열에 추가된 노드의 방문 여부를 즉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반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 구조 최적화: count나 distance와 같은 변수들이 코드에 있다면, 이를 효율적으로 초기화하고 업데이트하는 것도 코드의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최적화들은 대개 BFS 알고리즘의 실행 속도와 메모리 사용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 질문과 답변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존에 다른 수강생 분들이 비슷한 질문을 하셨던 2-J 코드 질문있습니다 게시물을 참고하여, 추가적인 최적화 기법을 탐색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