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0
0
로그, ELK, @Slf4j 및 로깅 프레임워크 등등...
기본적인 로그와 관련된 이론 공부는 끝냈습니다.
이제 고민이 되는 부분이 다음과 같습니다.
로그 복구 및 백업 정책
ELK 실제 구축
현업에서 어떤 정보를 로그로 남기는지 (실제 로그 정보)
로그 레벨 별 보편적인 처리 방법
어떤 로그 정보를 모니터링해야하는가?
해당 내용 중 일부는 실제 회사 시스템 코드를 까보지 않는 이상, 즉 취업해서 경험적으로 배우지 않는 이상...
지금 당장 공부하기가 힘들어보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혹시 취업 전에 미리 1~5에 대해 공부해보거나 접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오픈 소스에 적용된 로그를 좀 찾아보면 되는건지... 뭐 다른 방법이 있을지..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ㅠㅠ
아예 감이 안잡히니 구글링을 어떻게 해야 할 지 잘 모르겠네요.. ㅠㅠ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수하님, 로그와 관련된 실무적인 부분에서 궁금증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아래에 각 주제에 대한 조언을 드립니다.
로그 복구 및 백업 정책
로그 복구 및 백업에 대한 정책은 회사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로그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글링을 통해 “log backup and recovery strategies”와 같은 키워드를 검색해 다양한 사례나 백서를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ELK 실제 구축
ELK(Stack: Elasticsearch, Logstash, Kibana)를 구축하는 과정은 온라인 튜토리얼이나 GitHub의 오픈 소스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ELK stack tutorial”로 검색해 관련 자료를 찾아보세요. 또한, ELK와 관련된 다양한 강의나 블로그 글을 통해 구축 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현업에서 어떤 정보를 로그로 남기는지
일반적으로 요청 정보, 에러 메시지, 시스템 상태, 사용자 활동 등이 로그에 남겨집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나 GitHub 레포지토리에서 이러한 로그 정보를 어떻게 기록하고 있는지 파악해볼 수 있습니다. “application logs examples”와 같은 키워드를 활용해 검색해 보세요.
로그 레벨 별 보편적인 처리 방법
로그 레벨은 보통 ERROR, WARN, INFO, DEBUG로 나뉩니다. 이 각각의 로그 레벨에 대한 설정은 Spring Boot나 다른 프레임워크의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ring Boot Logging Documentation을 참고하여 설정 예제를 살펴보세요.
어떤 로그 정보를 모니터링해야하는가
주로 모니터링해야 할 로그 정보에는 에러 로그, 성능 관련 로그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보안과 관련된 로그나 시스템에서 중요한 활동에 대한 로그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ey metrics for log monitoring”로 검색해 다양한 자료를 찾아보세요.
혼자서 실무적인 경험을 얻기 어렵다고 느낄 때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거나, 다양한 실습 자료 및 튜토리얼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추가로, 관련 커뮤니티나 포럼에 질문을 남기면 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좋은 공부 되시길 바랍니다!